인공지능 활용 창의적 산출물 제작 - 동영상
배경
지리 수업에서 다루는 개념이나 공간은 때때로 학생들에게 추상적이고 멀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이러한 지리적 내용을 자신의 모습과 결합하여 시각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예, Kling AI, Google Whisk AI)는 학생 개인 사진(피사체)과 지역 배경 이미지(장면)를 결합하여 현실감 있는 여행 이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 활동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학생 각자가 특정 시기와 장소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복장·소품·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가상의 지리 여행 사진이나 동영상’을 직접 구성·생성해 보는 시각 기반 탐구 과제입니다.
활동 목적
- 지역의 기후, 문화, 지리적 특성을 탐구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반영한다.
-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텍스트에서 이미지와 동영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 의상, 소품, 배경 등을 통해 시기와 장소가 드러나는 이미지의 구성을 훈련한다.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지리적 상상력과 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한다.
- AI를 활용한 자료 탐색 및 프롬프트 설계 능력을 실습한다.
특정 지역, 특정 시기 방문 사진 만들기 (구글 Whisk 활용)
개요
학생들은 수업에서 배운 지리 내용을 바탕으로, 특정한 장소와 시기를 선택합니다. 해당 장소를 선택한 지리적 이유를 먼저 정리하고, 그 장소의 기후·문화·환경 특성에 맞는 복장과 소지품을 설정합니다. 이후 생성형 AI(Whisk AI)를 활용하여, 자신의 사진을 피사체로, 선택한 장소 이미지를 배경으로 하여 ‘지리적 맥락이 드러나는 나의 여행 사진’을 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형 AI를 통해 기후에 맞는 복장이나 문화적 예절에 관한 조언을 받아들이는 것도 학습의 일부가 됩니다.
활동 절차
- 방문 장소 선정: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한 국가 또는 지역을 선택합니다.
(예: 이집트 피라미드, 브라질 열대우림, 몽골 초원, 인도네시아 화산지대 등) - 방문 시기 설정: 장소에 어울리는 방문 시기(계절, 월 등)를 설정합니다.
(예: "12월에 이집트 방문", "8월에 아마존 열대우림 탐험") - 장소 선정 이유 작성: 왜 그 장소와 시기를 선택했는지를 간단히 서술합니다.
(해당 장소의 지리적 특성, 학습 연계 포인트, 개인적 흥미 등 포함) - 복장·소품 구성: 선택한 장소와 시기에 맞게 복장, 신발, 소품, 가방, 문화적 요소(예: 이슬람, 전통 예절) 등을 조사하고 구성합니다. 이때 ChatGPT 등 AI 도구에 "이 시기에 이 지역에 어울리는 복장은?"과 같은 질문을 하여 구체적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AI 이미지 제작 (Whisk AI 사용): 자신의 얼굴이 보이는 상반신 또는 전신 사진을 준비합니다. 선택한 지역의 배경 사진을 활용하고, Whisk AI에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작성합니다: “이 사진 속 인물을 12월에 이집트 피라미드를 방문한 여행자처럼 꾸며줘. 긴팔 셔츠, 면바지, 바람막이, 모자, 선글라스, 스카프, 물병 등을 포함해서 실용적이고 문화적으로 적절한 여행복장으로 변경하고, 배경은 기자 피라미드가 있는 사막으로 바꿔줘.”
- 결과물 공유 및 해설: 완성된 이미지를 공유하고, "왜 이 지역을 선택했는가?" "복장과 소품은 무엇을 고려했는가?" "어떤 AI의 조언을 반영했는가?"등을 간략하게 정리합니다.
예시

실제 프롬프트 내용: "통기성이 좋은 얇은 긴팔 셔츠와 베이지색 또는 카키색 면바지를 입히고, 가벼운 바람막이 재킷을 어깨에 걸치거나 허리에 묶어 주세요. 넓은 챙의 캔버스 소재 모자, 목에 두른 얇은 스카프, 그리고 햇빛 차단용 선글라스를 착용시켜 주세요. 발에는 사막 지형에 적합한 견고한 트레킹화를 신기고, 어깨에는 작은 배낭이나 크로스백을 메게 해 주세요. 한 손에는 재사용 가능한 물병을 들고 있도록 설정해 주세요. 전체 복장은 기능적이고 자연스러운 어스톤 계열 색상(베이지, 모래색, 올리브 등)으로 통일해 주세요."
12월 이집트의 날씨
항목 | 내용 |
기후 | 건조한 겨울, 낮에는 온화(18~24℃), 밤에는 쌀쌀(10~15℃) |
하늘 상태 | 대체로 맑고 햇볕 강함 |
특징 | 일교차 큼, 사막 지형 특유의 건조함 및 강한 햇살 존재 |
12월 피라미드 방문을 위한 준비물(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다)
항목 | 세부내용 | 설명 |
상의 | 🌞 얇은 긴팔 셔츠 / 기능성 긴팔 티셔츠 | 햇빛 차단, 땀 흡수, 통기성 확보 |
🧥 가벼운 재킷 / 바람막이 점퍼 | 아침·저녁 체온 유지용, 겹쳐 입기 가능 | |
🧣 얇은 스카프 / 버프 | 햇빛·먼지·바람 차단, 목 보호용 | |
하의 및 신발 | 👖 면바지 / 기능성 팬츠 | 햇빛과 모래 대응, 반바지는 비추천 |
👟 편한 워킹화 / 트레킹화 | 모래·자갈 지형 대비, 장시간 도보 적합 | |
기타 액세서리 | 🧢 넓은 챙 모자 | 햇빛 차단 및 열기 완화 |
🕶️ UV 차단 선글라스 | 눈부심 방지, 눈 보호 | |
🧴 자외선 차단제 | 햇볕 노출 부위 보호 | |
💧 작은 물병 | 탈수 예방, 휴대성 중요 | |
문화적 고려 (여성) | 👗 얇은 긴팔 셔츠 + 긴 바지 or 롱스커트 | 이슬람 문화 감안한 복장 |
+ 스카프 착용 권장 | 지역 주민 존중, 관광지 예절 | |
가방 및 기타 | 🎒 가벼운 데이백 | 필요물품 휴대 용이 |
여벌 겉옷, 생수, 염분 간식 | 체온 조절 및 에너지 보충 | |
보조 배터리, 손 소독제, 썬크림 | 장시간 이동 대비용 필수품 |
특정 지역, 특정 시기 방문 동영상 만들기 (Kling AI 활용)
개요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특정 시기와 지역의 지리적·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해당 장소를 여행하는 모습을 AI 기반 동영상으로 제작합니다. 이 활동은 Kling AI의 'Image to Video' 기능을 활용하며, 학생 본인의 사진을 바탕으로 의상, 배경, 분위기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짧은 영상 콘텐츠를 생성합니다. Whisk AI와 유사하게 배경과 피사체를 결합하지만, Kling AI는 얼굴 인식이 유지되며, 배경뿐 아니라 의상과 동작이 함께 합성된 자연스러운 영상이 생성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지리적 상상력, 디지털 리터러시, 문화 감수성을 입체적으로 실습할 수 있습니다.
활동 절차
- 방문 지역 및 시기 설정: 수업에서 배운 지역 중 한 곳과 방문 시기를 설정합니다. 기후대, 문화권, 관광·생활 조건을 함께 고려합니다.
- 지역 선택 이유 정리: 왜 그 지역을 선택했는지 간단히 서술합니다. 장소의 지리적 의미, 문화적 상징성, 기후적 특성을 포함합니다.
- 복장 및 소품 구성 계획: Kling AI는 의상과 액세서리도 반영되므로, 해당 지역과 시기에 적합한 복장(예: 우기 대비, 전통 복식, 문화적 예절)을 함께 설계합니다. AI에 “이 지역을 이 시기에 방문할 때 적합한 복장은?” 식으로 물어보며 학습합니다.
- 이미지 자료 준비 및 업로드: Kling AI의 ‘Image to Video’ 기능을 활용하여, 자신의 얼굴이 잘 나온 사진(전신 또는 상반신), 의상/소품/배경을 나타낼 수 있는 참고 이미지(예: 4컷)를 함께 업로드합니다.
- AI 프롬프트 작성 및 동영상 생성
- 결과물 발표 및 해설: 완성된 영상을 공유하고, “왜 이 장소와 복장을 선택했는가?” “동영상에서 어떤 지리적 요소가 드러나는가?” “AI 조언을 어떻게 반영했는가?”를 간략히 정리합니다.
예시
모델이 안데스 전통 의상을 입고 있는 광고 영상을 제작하도록 했다("An advertisement video featuring a young Asian model wearing a traditional Montera hat and a Poncho against the backdrop of a traditional Andean village").
성주참외 광고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