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활동 "우리지역에는 어떤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할까?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
- 목표 - 내가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해일, 산사태, 폭염, 지진 등 자연재해 위험을 조사해 자연재해의 위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특징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제시된 자연재해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예,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 재난 데이터 등)를 활용한다.
공간정보웹서비스 기반 자연재해 탐구학습 모델
단계 | 지리적 질문 | 수업활동 |
1단계 탐구질문 정의 및 중요성 인식 |
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탐구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학생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사례를 떠올리며, 경험과 지역 사회의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의 기초를 마련한다. |
2단계 공간정보웹서비스 확인 및 평가 |
탐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 | 학생들은 교사가 제공한 생활안전지도, 산불위험 시스템, 기상 데이터 포털 등 사전 선정된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탐색하고, 재해 위험 평가에 적절한 데이터를 선별한다. |
3단계 공간 데이터 분석 및 패턴 탐색 |
수집한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학생들은 공간 분석 도구(레이어 중첩, 필터링, 확대/축소 등)를 활용하여 지역별 자연재해 위험도를 다중 규모(지역-국가)에서 비교 분석하고, 고위험 지역 및 주요 위험 요소를 파악한다. (아래 3단계) |
4단계 데이터 기반 결론 도출 |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떤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가? | 학생들은 여러 GWS 데이터를 통합하여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를 도출하고,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증거 기반의 결론을 제시한다. |
5단계 실제 문제해결을 위한 적용 |
이 문제에 대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학생들은 지역 내 재난 관리 기관이 수행하는 대응 전략을 조사하고, 정부의 재해 대응 정책을 평가한 후, 지역 차원에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
[1단계] 탐구질문 정의 및 중요성 인식
- 교사는 탐구질문("우리지역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무엇인가?")을 안내한다.
- 학생들은 자신들이 지역에서 경험한 자연재해를 떠올리고 경험을 공유한다.
- 우리동네에 과연 어떤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을까?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떠올리며, 이 질문을 조사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생각해 본다.
[2단계] 공간정보웹서비스 확인 및 평가
- 교사는 탐구질문을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데이터(정보)를 통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안내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까?', '이 데이터를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
- 교사는 준비한 공간정보웹서비스(Geospatial Web Service, GWS)를 제시하고, 1-2개 정도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학생들이 떠올린 데이터와 얼마나 유사한가? 우리지역의 자연재해 피해를 조사하는게 가장 유용할 것 같은 데이터는 무엇인가?
[3단계] 우리지역의 자연재해 위험 평가를 위한 공간정보웹서비스
- 학생들은 교사가 제시한 총 9개의 자연재해 관련 데이터(GWS)를 검토하고, 평가한다.
- 교사는 1-2개의 예시를 통해 평가방법을 알려준다.
- 학생들은 평가결과를 '우리지역의 자연재해 평가 보고서'에 기록한다.
9개의 자연재해 관련 데이터(GWS)
도시침수지도는 태풍, 게릴라성 집중호우, 장마철 이례적으로 비가 많이 왔을 때, 빗물처리시설(예, 빗물펌프장, 저류조)이 이 물을 더 처리하지 못하거나 고장났을 경우 물이 넘쳐 침수될 수 있는 지역과 침수 시 수심 등의 정보를 지도로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도시침수지도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5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하천범람지도는 강이 넘쳐서 주변 지역이 물에 잠길 수 있는 위험을 보여주는 지도이다. 해당 지역에 비가 많이 오지 않았더라도, 강의 상류 지역에 비가 많이 오면 하류지역에서 강물이 넘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지도는 약 100년에 한 번 정도 일어날 수 있는 큰 비가 내렸을 때, 강이 넘치거나 무너질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보여준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하천범람지도(국가하천)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5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해안침수예상도는 태풍이 불 때 바닷물이 높아져 해안지역이 물에 잠길 가능성을 예측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약 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큰 태풍을 가정해, 바닷물이 얼마나 높아지고 어디까지 물에 잠길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해안침수예상도(1단계)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6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산사태위험지도는 집중강우 등으로 산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해 보여주는 지도이다. 비가 많이 오거나 지형이 가파른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곳을 색깔로 등급(5등급)을 표시하여, 사람들이 미리 대피하거나 안전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다. 1등급이 발생 위험이 가장 높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산사태위험지도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5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지진발생이력은 태풍이 불 때 바닷물이 높아져 해안지역이 물에 잠길 가능성을 예측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약 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큰 태풍을 가정해, 바닷물이 얼마나 높아지고 어디까지 물에 잠길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지진발생이력(전체)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중심으로 주변 50km 이내에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회수를 기록한다.
산불취약지도는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과 피해 위험이 높은 지역을 4단계(A, B, C, D)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지도이다. 이 지도는 산불발생밀도, 침엽수림과의 거리, 인구밀도, 건물밀도, 국가보호시설의 분포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되었다. 이 지도는 산불감시원 배치, 산불조심기간 입산 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구역 선정에 활용될 수 있다.
데이터 산림청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 - 현재산불위험지수(http://forestfire.nifos.go.kr/menu.action?menuNum=1) →
‘산출위험지수’ 선택을 해제하고, ‘산불취약지도’ 선택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4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열분포도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해 여름철(6월~9월) 동안의 지표 온도 평균을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30m 격자 단위로 각 지역의 온도를 세밀하게 보여주어, 어느 지역이 더 뜨거운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열분포도는 폭염 저감시설(예, 그늘막이나 안개 분사기 등)을 설치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열분포도
조사방법 우리지역의 여름철 지표 평균기온을 기록한다. 우리지역의 지표 평균기온은 주변지역에 비해 높은 편인가, 낮은 편인가?
한파일수란 겨울철 동안 한파가 발생한 날의 총합을 의미한다. 한파일수는 기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날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일반적으로 일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로 떨어지거나, 일 최고기온이 영하에 머무는 날이 한파일수에 포함된다.
데이터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상현상일수 – 한파일수(https://data.kma.go.kr/climate/cdwv/selectCdwvDmap.do?pgmNo=733) - ‘분포도’를 선택하고, 자료구분에서 ‘년’을 선택하고, 기간을 원하는 연도(예, 2023년)를 선택한다.
조사방법 지난 해 동안 우리 지역에서 한파는 몇 회 발생했는지 기록한다.
물공급지수(MSWSI)는 하천과 지하수를 포함한 지역의 물 공급 상황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표는 우리가 사용하는 물이 얼마나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물공급지수는 물이 얼마나 부족하거나 충분한지를 숫자로 나타내어, 가뭄이 얼마나 심각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데이터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지수(https://www.drought.go.kr/menu/m40/m46.do#) - ‘MSWSI’ 선택
조사방법 지난 해 동안 우리 지역에서 한파는 몇 회 발생했는지 기록한다. 극한습윤부터 극한가뭄까지 지역별 9단계의 물공급수준을 평가한다.
'우리지역의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
총 9개의 자연재해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고, 평가한 결과를 아래 표에 정리한다. 정리한 표를 종합해서 결론을 도출할 예정이다.
조사항목 | 평가기준 | 등급 | 위험평가정도 | ||||||
홍수 | 생활안전지도 도시침수지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해당없음 | 극한 강우조건에서 우리 지역은 ____ (m) 정도 침수될 것이다. | |
생활안전지도 하천범람지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해당없음 | 하천이 범람하거나 제방이 붕괴될 경우 우리 지역은 ____ (m) 정도 침수될 것이다. | ||
해안침수/해일 | 생활안전지도 해안침수예상도(1단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6등급 | 해당없음 | 해일이나 태풍이 오면 우리 지역에는 ____ (m) 정도의 파도가 칠 수 있다. |
산사태 | 생활안전지도 산사태위험지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해당없음 | 산사태 위험으로부터 우리 지역은? ____ | |
지진 | 생활안전지도 지진발생이력 |
우리지역을 중심으로 주변 50km 이내에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____회 발생했다. 우리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지진으로부터 ____ | |||||||
산불 | 산림청 산불취약지도 |
A등급 | B등급 | C등급 | D등급 | 해당없음 | 산불 위험으로부터 우리 지역은? | ||
폭염 | 생활안전지도 열분포도(전체) |
우리지역의 여름철 지표면 평균온도는 ____. 이 온도는 주변 지역에 비해 높은/낮은 편이다. | |||||||
한파 | 기상청 한파일수 |
지난 한 해 동안 우리 지역에서 한파는 ____회 발생했다. | |||||||
가뭄 |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지수 |
우리지역의 물공급지수는 ____이다. |
PDF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4단계] 데이터 기반 결론 도출
- '우리지역의 자연재해 위험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우리지역에 가장 빈번한 자연재해가 무엇인지 결론을 내린다.
- 이 결론은 내가 처음 예상했던 자연재해와 일치하는가?
[5단계] 실제 문제해결을 위한 적용
- 우리 지역의 자연재해 대응을 주관하는 정부 기관 및 지자체 담당부서는 어디인가? (아래 예시)
- 우리가 조사한 자연재해에 대해 우리 지자체는 인식하고 있으며, 대응하고 있는가? 만일, 지자체에 조언을 하고 싶다면 어떤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까?
- 우리지역의 자연재해를 조사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 데이터가 있다면 무엇일까?
국가단위(정부)
-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 재난발생시 행동요령, 재난사고 발생 현황, 긴급재난 문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기상청 - 기상특보, 지진, 화산 발생시 행동요령
- 국토교통부 국토정보플랫폼 - 지원서비스 - 긴급공간정보(예, 풍수해, 산사태 지도 등)
지자체 단위(예시)
- 서울시 서울안전누리(GWS) - 재난사고 속보, 한파, 대설, 강풍, 홍수, 태풍, 지진, 미세먼지, 산사태, 방사선 등 정보 제고, 행동요령, 재난안전시설
- 포항시청 포항소개 - 시청안내 - 행정조직 - 시청 행정조직 - 행정조직 업부안내
- 영동군청 영동소개 - 조직안내 - 부서안내
'4단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표는 왜 변화하는가? (0) | 2024.10.20 |
---|---|
해안지역의 변화와 보전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1) | 2024.10.20 |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1) | 2024.07.27 |
[자료] 폭염은 불공정한 재난이다. (0) | 2024.06.22 |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