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단원

우리지역 자연재해 위험 평가

by ziriboy 2024. 10. 17.

학생활동 "우리지역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

  • 목표 - 내가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해일, 산사태, 폭염, 지진 등 자연재해 위험을 조사해 자연재해의 위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특징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제시된 자연재해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예,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 재난 데이터 등)를 활용한다. 

자연재해 조사 리포트.pdf
5.07MB



도시침수지도는 태풍, 게릴라성 집중호우, 장마철 이례적으로 비가 많이 왔을 때, 빗물처리시설(예, 빗물펌프장, 저류조)이 이 물을 더 처리하지 못하거나 고장났을 경우 물이 넘쳐 침수될 수 있는 지역과 침수 시 수심 등의 정보를 지도로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도시침수지도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5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도시침수지도 - 서울시의 강남역 주변은 넓은 지역에서 0.5m 이하로 침수됨을 알 수 있다.

하천범람지도는 강이 넘쳐서 주변 지역이 물에 잠길 수 있는 위험을 보여주는 지도이다. 해당 지역에 비가 많이 오지 않았더라도, 강의 상류 지역에 비가 많이 오면 하류지역에서 강물이 넘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 지도는 약 100년에 한 번 정도 일어날 수 있는 큰 비가 내렸을 때, 강이 넘치거나 무너질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보여준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하천범람지도(국가하천)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5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하천범람지도

해안침수예상도는 태풍이 불 때 바닷물이 높아져 해안지역이 물에 잠길 가능성을 예측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약 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큰 태풍을 가정해, 바닷물이 얼마나 높아지고 어디까지 물에 잠길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해안침수예상도(1단계)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6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해안침수예상도 – 해안에 위치한 부산의 경우 일부 지역이 해안침수위험에 취약성을 보인다.

산사태위험지도는 집중강우 등으로 산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해 보여주는 지도이다. 비가 많이 오거나 지형이 가파른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곳을 색깔로 등급(5등급)을 표시하여, 사람들이 미리 대피하거나 안전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다. 1등급이 발생 위험이 가장 높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산사태위험지도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5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산사태 위험지도

지진발생이력은 태풍이 불 때 바닷물이 높아져 해안지역이 물에 잠길 가능성을 예측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약 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큰 태풍을 가정해, 바닷물이 얼마나 높아지고 어디까지 물에 잠길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지진발생이력(전체)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중심으로 주변 50km 이내에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회수를 기록한다. 

지진발생이력

산불취약지도는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과 피해 위험이 높은 지역을 4단계(A, B, C, D)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지도이다. 이 지도는 산불발생밀도, 침엽수림과의 거리, 인구밀도, 건물밀도, 국가보호시설의 분포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되었다. 이 지도는 산불감시원 배치, 산불조심기간 입산 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구역 선정에 활용될 수 있다. 

데이터 산림청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 - 현재산불위험지수(http://forestfire.nifos.go.kr/menu.action?menuNum=1)

‘산출위험지수’ 선택을 해제하고, ‘산불취약지도’ 선택  

조사방법 우리지역을 찾아 해당하는 등급(1등급~4등급 혹은 해당없음)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산불취약지도

열분포도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해 여름철(6월~9월) 동안의 지표 온도 평균을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지도이다. 이 지도는 30m 격자 단위로 각 지역의 온도를 세밀하게 보여주어, 어느 지역이 더 뜨거운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열분포도는 폭염 저감시설(예, 그늘막이나 안개 분사기 등)을 설치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데이터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 재난 → 열분포도

조사방법 우리지역의 여름철 지표 평균기온을 기록한다. 우리지역의 지표 평균기온은 주변지역에 비해 높은 편인가, 낮은 편인가? 

열분포도

한파일수란 겨울철 동안 한파가 발생한 날의 총합을 의미한다. 한파일수는 기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날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일반적으로 일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로 떨어지거나, 일 최고기온이 영하에 머무는 날이 한파일수에 포함된다. 

데이터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상현상일수 – 한파일수(https://data.kma.go.kr/climate/cdwv/selectCdwvDmap.do?pgmNo=733) - ‘분포도’를 선택하고, 자료구분에서 ‘년’을 선택하고, 기간을 원하는 연도(예, 2023년)를 선택한다.  

조사방법 지난 해 동안 우리 지역에서 한파는 몇 회 발생했는지 기록한다. 

한파일수

 

물공급지수(MSWSI)는 하천과 지하수를 포함한 지역의 물 공급 상황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표는 우리가 사용하는 물이 얼마나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물공급지수는 물이 얼마나 부족하거나 충분한지를 숫자로 나타내어, 가뭄이 얼마나 심각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데이터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지수(https://www.drought.go.kr/menu/m40/m46.do#) - ‘MSWSI’ 선택

조사방법 지난 해 동안 우리 지역에서 한파는 몇 회 발생했는지 기록한다. 극한습윤부터 극한가뭄까지 지역별 9단계의 물공급수준을 평가한다. 

물공급지수(MSWSI)

 

 

우리 지역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

조사항목 평가기준 등급 위험평가정도
홍수 생활안전지도
도시침수지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해당없음 극한 강우조건에서 우리 지역은 ____ (m) 정도 침수될 것이다.
  생활안전지도
하천범람지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해당없음 하천이 범람하거나 제방이 붕괴될 경우 우리 지역은 ____ (m) 정도 침수될 것이다.
해안침수/해일 생활안전지도
해안침수예상도(1단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해당없음 해일이나 태풍이 오면 우리 지역에는 ____ (m) 정도의 파도가 칠 수 있다.
산사태 생활안전지도
산사태위험지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해당없음 산사태 위험으로부터 우리 지역은? ____
지진 생활안전지도
지진발생이력
              우리지역을 중심으로 주변 50km 이내에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____회 발생했다. 우리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지진으로부터 ____
산불 산림청
산불취약지도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해당없음 산불 위험으로부터 우리 지역은?
폭염 생활안전지도
열분포도(전체)
              우리지역의 여름철 지표면 평균온도는 ____. 이 온도는 주변 지역에 비해 높은/낮은 편이다. 
한파 기상청
한파일수
              지난 한 해 동안 우리 지역에서 한파는 ____회 발생했다.
가뭄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지수
              우리지역의 물공급지수는 ____이다.

 


우리 지역에서 가장 주의하고 대비해야 할 자연재해는 무엇인가?

-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해당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예상되는 피해는 무엇인가?

- 최근에 관련된 신문기사나 뉴스를 찾아볼 수 있나요? 해당 기사나 뉴스를 요약해 보세요.

- 이 자연재해와 관련된 피해 대응을 주관하는 정부 또는 지자체의 담당 부서는 어디인가요?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 작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조사하고 싶은 자연재해가 있다면 무엇인가? 

- 그 자연재해와 관련된 데이터를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요? (예, 기상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홈페이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