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단원24

창의적 산출물 제작 학생활동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동영상 제작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쉽게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Sora AI (소라)Sora AI는 일반적인 다양한 영상 제작에 강한 고품질 AI 모델. 텍스트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사실적인 장면부터 애니메이션까지 폭넓은 스타일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Sora AI를 통해 제작한 영상("Two sheep riding the waves and enjoying surfing in the ocean. They are wearing sunglasses and have very joyful expressions" Whisk AI (위스크) 구글에서 만든 '무료' 이미지 생성 AI. 1) 피사체(사람, 동물 등 주인공), 2) 장면(배경), 3).. 2025. 2. 20.
동해안과 서해안의 조석차 밀물과 썰물은 '조석'이라 하며, 썰물은 만조시에서 간조시까지, 반대로 밀물은 간조시에서 만조시까지의 물 드나듬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조석의 차이가 크지만 동해안은 그 차이가 적다. 조석은 우리 눈에는 바닷물의 드나듬으로 확인되지만 실제로는 바닷물의 수위(높낮이) 변화라 할 수 있다. 즉, 밀물때는 바닷물의 높이가 높아지고, 썰물때는 바닷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해안의 조석차는 얼마나 될까? 과연 동해안에 비해 얼마나 뚜렷하며, 또 남해안의 조석차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해안에 관측 포인트를 통해 바닷물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다. 또한, 과거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예측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가 갯벌에 놀러갈 때 참조하는 '물때표'라.. 2024. 12. 26.
환경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 - 신두리 해안사구 조사 학생활동 신두리 해안사구 조사 개요 이 야외조사 프로그램은 한국지리탐구의 4.2. ‘국토의 변화와 지속가능성’에서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성취기준을 위해 개발되었다.  탐구질문 어디인가? 신두리 해안사구란?신두리 해안사구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신두리 해안사구는 변화해 왔는가? 환경에 대한 관점은 왜 중요한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신두리 야외조사 신두리 해안사구란? 우리나라 서해안에 많은 해안사구가 발달해 있다. 서해안에 해안사구가 발달하기 유리한 조건은 무엇일까? '해안사구'하면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가? 아래 영상을 보고, 내가 생각했던 것과 비교해.. 2024. 10. 21.
지표는 왜 변화하는가? 학생활동 지표는 왜 변화하는가? 아래는 강원도 삼척시 주변의 위성사진이다. 네이버(map.naver.com) 혹은 다음 지도(maps.daum.net)의 위성사진 기능을 활용해 아래 지도에 표시된 위치를 찾아보자. 2024. 10. 20.
해안지역의 변화와 보전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학생활동 해안사구의 침식과 복구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개요 성취기준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를 위해 개발되었다. 해안침식이 활발한 지역을 대상으로 해안침식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안침식에 대처하는 방법의 유형과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초점이다.  탐구질문 해안사구란?해안침식이란?해안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해안사구란? 해안사구의 형성사구는 바람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식물, 암석, 또는 다른 장애물에 부딪혀 쌓이면서 만들어진 모래 언덕을 말한다. 특히 해안가에 위치한 모래 언.. 2024. 10. 20.
우리지역 자연재해 위험 평가 학생활동 "우리지역에는 어떤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할까?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목표 - 내가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해일, 산사태, 폭염, 지진 등 자연재해 위험을 조사해 자연재해의 위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특징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제시된 자연재해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예,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 재난 데이터 등)를 활용한다.  공간정보웹서비스 기반 자연재해 탐구학습 모델단계지리적 질문수업활동1단계탐구질문 정의 및 중요성 인식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탐구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학생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사례를 떠올리며, 경험과 지역 사회의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의 기초를 마련한다.2단계공간정보웹서비스 확인 및 평가탐구 질문을 해결하기.. 2024. 10. 17.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주제에 맞는 노래는 제작하는 활동이다. 노래 듣기 - 제목: 썰물의 속삭임활동 순서1. 생성형 인공지능(ChatGPT)를 활용해 노래 가사를 작성한다(예, "갯벌의 아름다움과 특성을 표현하는 노래가사를 작성해줘").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노래가사를 직접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래 가사 작성 과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은 창의력과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노래 가사의 구조를 이해하고, 각 부분의 목적을 알면 학생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노래에서 Verse(버스), Chorus(후렴), Bridge(브릿지), Outro(아웃트로)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들에.. 2024. 7. 27.
[자료] 폭염은 불공정한 재난이다. 자료 폭염은 불공정한 재난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의 발생 일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폭염이 발생하면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피해를 입을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저소득층은 전기료에 대한 부담을 상대적으로 더 심각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더운 날씨에도 선풍기와 같은 냉방기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폭염과 같은 자연재해가 같은 지역에서 발생한다 하더라도 피해를 더 많이 받게 되는 사람들(자연재해 취약계층)이 존재하게 된다. 폭염만 불공정한 재난일까? 아래는 자연재해별 취약 계층과 취약시설을 제시한 표이다.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내용을 생각해 보자(출처: 심우배). 구분지표취약 시민65세 이상 노인 및 5세 미만 어린이취약 시설폭우반지하주택폭염 폭설 강풍고층아파트, 대형광고물해수면.. 2024. 6. 22.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다음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20개 기업(2021년 기준)의 목록이다. 이 표를 토대로 아래의 질문에 답해 보자.  1.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을 찾아보자 (4-5가지)2. 이들은 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것일까? 순위업체명업종배출량 (단위: 톤)1포스코철강78,490,2072현대제철철강28,489,3053삼성전자반도체14,494,4474쌍용 C&E시멘트10,609,9445S-Oil정유9,774,5286엘지화학석유화학8,839,5647GS 칼텍스정유8,229,6878현대 오일뱅크정유7,323,3549SK 에너지정유6,694,02910롯데 케미칼석유화학6,559,67511삼표시멘트시멘트5,912,10512성신양회시멘트4,948,81813한화토탈석유.. 2024. 6. 21.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위 그래프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 즉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 원의 구성을 보여준다. 위 그래프를 보고 물음에 답하라. [OX]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OX] 전력생산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너지원 3가지는 석탄(화력발전), 천연가스(화력발전), 우라늄(원자력발전)이다.[OX] 신재생에너지(예, 태양광, 풍력)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력 생산을 위해 어떤 에너지원을 사용하느냐는 발전 비용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때 석탄은 740-1,689(단위 g/kWh), 석유는 510-1,170, 천연가스는 290-930, 태양광은 41, 원자력은 12.. 2024. 6. 21.
[학생활동] 학생활동 세계유산 추천하기 학생활동 "세계 자연유산을 추천해 보자!" 개요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은 유산을 찾아 세계유산 등재 이유를 작성하는 과제이다. 세계인의 관점에서, 주변의 자연환경이나 경관을 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활동의 목적이다. 지역의 주민이 아닌, 유산을 심사하는 심사자(평가자)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1 단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 국립공원, 지오파크, 생태경관보전지역, 천연기념물, 기타 유형의 '사례' 중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은 유산 1곳 선정한다. 가령, 학생들은 '우포늪'이나 '한탄강 지오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구분설립 목표/ 설명관리주체사례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희망하는 유산들을 사전에 식별하고 목록화문화재청울산 대곡천 암각화군염전(신안.. 2024. 6. 1.
[수업자료 개발]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재판 수업자료 개발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재판 역할극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 배경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해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역할극 수업자료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파리 기후협약에 참여하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약속했지만 온실가스 배출은 감소하지 않고 있으며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환경단체에서 우리나라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맥락으로 시작한다. 제작 과정아래와 같이 ChatGPT에 입력할 수 있다. "고등학교 지리수업을 위한 역할극을 만들고 있어. 역할극의 배경은 재판이며, 파리협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탄소배출을 감축하지 못한 한국정부를 상대로 청소년 환경단체가 소송을 제기했어. 하지만, 정부도 억울한 측면이 있어. 탄소 배.. 2024.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