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단원17

[학생활동] 지역이 음식을 만들고, 음식이 지역을 만든다! 학생활동 "지역이 음식을 만들고, 음식이 지역을 만든다!"이 과제는 지역의 지리적 환경이 특정 식재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친 사례와, 그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의 생산과 소비가 지역의 경관, 문화, 경제를 변화시킨 사례를 조사하는 것이다. 단, 두 사례는 동일한 지역에서 이루어진 것이어야 한다. 예) 경남 통영의 굴 생산과 굴 식품, 제주의 감귤 생산과 감귤 산업 과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음식과 지역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좋다. 학생들은 하나의 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의 지리적 환경(기후, 지형, 토양, 수자원 등)이 특정 식재료의 생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또한, 해당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이 어떻게 생산·소비되며, 이 과정이 지역 경관, 경제, 문화에 어떤 변화를.. 2025. 3. 8.
[학생활동] National Food "스팸마요는 한국음식인가?" 학생활동 National Foods "스팸마요는 한국음식인가?"음식과 지역이 연결된 사례는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은 핫도그, 영국은 피쉬앤칩스, 이탈리아는 파스타 혹은 피자와 연결된다. "한국의 음식"이라면 뭐가 있을까? 한국을 상징할 수 있는 음식을 나열해 보자. 이들 음식들은 어떻게 한국과 연결되는 것일까? 한국 혹은 한국인과 잘못 연결되는 음식의 사례를 알고 있는가? 한국인과 연결된 전형적인 음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외국의 음식유투버는 한국의 김치말이국수를 소개하며, 국수를 배추김치에 돌돌 말아 먹는 먹방을 선보였다!정체성은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있고, 음식은 이러한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세계화,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지역 간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서 음식과 관련한 다양한 정.. 2024. 6. 19.
[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한국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활용하면 '개인형 이동수단(PM)'과 관련한 교통사고 발생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활동에서는 아래의 질문에 대한 근거와 답을 찾아보도록 한다.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사고유형)서울시 강남구에서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곳은 어디인가? (사고위치 특성)개인형 이동수단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은 방치된 이동수단의 견인지점과 관련 있을까? (사고위치 특성)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아래의 사이트를 활용할 것이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공공데이터 포털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개.. 2024. 4. 5.
[자료] 네카쿠배는 전통시장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자료 네카쿠배는 전통시장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대형할인점이 들어선 이후 전통시장은 경쟁력을 잃고 쇠퇴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살리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화'가 제시되고 있다. 네카쿠배로 불리는 네이버(우리동네 장보기), 카카오(우리동네 단골시장), 쿠팡, 배민의 전통시장 디지털화 전략을 살펴보자. 경기도 동두천의 전통시장에서 만두를 판매하는 ㅇㅇ분식의 박대표에게 가장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일까?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2024. 4. 5.
[학생활동] 잘못 주차된 전동킥보드는 어디에 있을까? 학생활동 잘못 주차된 전동킥보드는 어디에 있을까?// GIS 활용 야외조사 // 우리 주변에서 무질서하게 주차된 공유 킥보드(혹은 공유자전거)를 자주 볼 수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매핑 프로그램을 활용해 무질서하게 주차된 공유 킥보드의 위치를 지도화할 수 있다. 아래의 프로그램 외에도 위치를 지도화할 수 있는 다양한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024. 4. 5.
핫플레이스 - 얼마나 변했는가? 학생활동 핫플레이스, 얼마나 변했는가?핫플레이스의 변화 과정을 조사해 보자. 여러분이 해야할 일은 카페거리로 유명한 서울시 서울숲(서울숲2길)의 업종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방법'에 따라 아래 표를 완성해 보자. 조사방법대상지역: 서울숲2길 조사내용: 2009년과 2024년 사이 서울숲2길의 업종 변화 조사 조사방법: 로드뷰 기능 활용해 현재의 거리모습과 특정 시점(예, 2009년) 거리의 모습을 비교한다.1) 다음지도에서 '서울숲 2길'을 찾고, 로드뷰 기능을 실행한다. 2) 2009년의 거리뷰를 선택하고, 조사대상 건물(예, 5-12, 15-25)의 2009년 업종을 확인하고 워크시트에 기록한다. 3) 조사한 업종을 4가지로 분류한다: 주민 거주지역(R), 주민대상의 근린 상업시설(N), 외지.. 2024. 3. 18.
[학생활동] 변해야 하는 것 vs.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 학생활동 변해야 하는 것 vs.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다음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변해야 하는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찾아보는 활동이다. 아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북 안동의 양동마을 대상으로 제시되었다. 물론, 양동마을 이외의 여러 지역에도 아래 아이디어는 적용이 가능하다. 변해야 하는 것 vs.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  양동마을은 오히려 빠르게 변화하지 않고 한편으로는 고집스럽게 전통문화를 고수하였기 때문에 지난 500년간 마을의 문화를 비교적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었다. 양동마을이 앞으로 500년을 더 유지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양동마을에서 변해야 하는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찾아보자. 양동마을에서 변해.. 2024. 3. 18.
장소는 어떻게 보여지는가? 기념품과 포토존 속 재현된 공간 장소는 '어떻게 보여지는가?' - 기념품과 포토존 속 재현된 공간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장소를 직접 가보기 전부터 사진, 영상, 글, 후기를 통해 그 장소를 ‘먼저 경험’하게 된다. 특히 관광지에서 판매되는 기념품, 카페 창에서 보이는 풍경, 사진을 찍는 포토존은 단순한 물건이나 공간이 아니라, 그 지역이 보여주고 싶은 장소 이미지를 담고 있는 상징물이다. 이러한 장소의 이미지들은 종종 실제의 장소와는 다를 수 있으며, SNS나 미디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강조되고, 반복적으로 소비되면서 특정한 ‘이미지로서의 장소’를 만들어낸다. 지리학에서는 이렇게 사진, 기념품, 공간 디자인 등을 통해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구성되는 장소 이미지를 ‘장소의 재현(representation of place)’이라고 부른다.조.. 2024. 3. 18.
[학생활동] 카페 음료 디자인 - 지역 정체성 학습 학생활동 카페 음료를 디자인해 보자! //인공지능 활용//"귀하는 스타벅스 신메뉴 개발팀의 인턴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여러분의 임무는 [2025 지역 마케팅 프로젝트]에 참여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음료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시범 적용을 거쳐 최고의 실적을 올린 상품은 정식 상품으로 판매될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멋진 아이디어를 제안해 주세요." 활동 순서1. 어떤 지역을 선정하였나요? 2. 그 지역의 지역성을 보여줄 수 있는 단어가 있다면 무엇인가요?(5개 이하) 3. 이 음료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4. 어떤 재료를 활용하였나요? 5. 이 음료의 이름, 내용물, 디자인을 지역의 특성과 연결해서 .. 2024. 3. 18.
[학생활동] 관광을 통한 지역 개발 학생활동 관광을 통한 지역 개발 "한국관광데이터랩을 활용한 지역개발 활동"//공공 빅데이터 활용//목표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관광을 통한 지역 개발을 위해 제안서를 작성하는 활동이다. 이번 활동의 핵심은 제시된 질문에 근거를 찾아보고, 찾은 근거를 종합해서 결론을 도출해 보는 것이다. 이 활동을 진행하기 전 '관광을 통해 우리지역을 개발하려면?' 활동을 미리 수행하는 것이 좋다.  활동 방법여러분들이 해야 할 임무는 아래 제시된 각각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고, '조사내용'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관광을 통한 지역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 활동을 위해 한국관광 데이터랩(https://datalab.visitkorea.or.kr) 사이트를 활용할 계획.. 2024. 3. 16.
[학생활동] 관광을 통해 우리 지역을 개발하려면? 학생활동 관광을 통해 우리 지역을 개발하려 한다면, 무엇을 알아야 할까? 관광을 통해 지역을 개발하려 시도하지만, 지역에 대해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우리 지역을 찾는지, 언제 우리 지역을 찾는 사람들은 가장 많은지, 우리지역을 찾는 사람들은 주로 어디를 방문하고, 무엇을 하는지 등등.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지 못한다면, 관광을 통해 지역을 개발하기 어렵다. 관광을 통해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정보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당 정보를 찾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활동이다. 빈칸을 채워보자. 질문(무엇을 알아야 할까?)이유(그것을 아는 것은 왜 중요한가?)근거(그 정보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우리 지역을 방문하고 있을까? 관광지 개.. 2024. 3. 16.
[자료] 상상의 지리 - 기대가 장소를 바꾸기도 한다! 자료 기대가 장소를 바꾸기도 한다!방문객들의 기대에 맞춰 경관을 설계한 곳도 있다. 아마도 한국사람들이 메밀꽃 핀 모습이 밤에 소금을 뿌린 것과 닮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덕분일 것이다. "이즈러는졌으나 보름을 가제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붓이 흘리고 있다. 대화까지는 칠십 리의 밤길 고개를 둘이나 넘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즘생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 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왼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혀 하얬었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 2024.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