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단원

[학생활동]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by ziriboy 2024. 3. 17.

학생활동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연구계획서(혹은 탐구계획서라 부를 수 있습니다)는 지리탐구를 위한 설계도에 해당합니다. 연구계획서를 보면, 질문이 무엇이고,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 것이고, 이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 분석할 것이며, 어떤 결론을 대략적으로 예상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연구계획서에 포함될 항목과 항목에 대한 설명, 예시입니다. 아래 내용을 토대로 여러분의 연구계획서를 작성해 봅시다. 

 

A. 제목

연구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는 제목을 설정합니다. 제목에 핵심개념을 넣을 수 있습니다. 

출산장려금은 출산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가? 전라북도 지역을 사례로 

 

B. 연구개요

이 연구가 무엇에 대한 것인지 300-400자 정도의 분량으로 명료하게 설명합니다. 

2022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8로 OECD 국가들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많은 지자체들은 저출산은 물론 수도권으로의 지속적인 인구이동으로 인해 인구감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인구정책을 활용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들은 출산 시 출산장려금을 제공하거나 보다 나은 생활환경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인구정책(예, 출산장려금) 및 지역의 생활환경 조건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전라북도 지역을 사례로 조사하고자 한다. 

 

C. 핵심개념

본 연구를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지리적 개념(2-4개)을 제시하고, 정의(define)합니다. 

출산장려금 - 출산장려금이란 현금 지원을 통해 양육비, 교육비 등의 부담을 완화시켜 경제적 부담을 줄임으로써 출산율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다. 출산장려금은 중앙정부의 출산장려정책과는 별개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예산에서 지급되고 있다.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인구 유출과 감소를 막기 위하여 출산을 장려하는 경제적 유인책을 자율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생활SOC - 생활SOC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필수 인프라로, 국민 생활 편익 증진시설 및 삶의 기본 전제가 되는 안전시설 등을 말한다. 즉 사람들이 먹고, 자고, 자녀를 키우고, 노인을 부양하고, 일하고 쉬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인프라와 삶의 기본 전제가 되는 안전시설을 뜻한다.

합계출산율 - 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2012년 1.30명이었지만 2018년부터 1명 이하로 떨어졌고, 2022년에는 0.78명이 되었다. 

 

D. 탐구질문

탐구질문(inquiry question)을 제시합니다.

- 지자체의 출산장려정책은 출산율 향상에 기여하는가? 

- 지자체의 생활환경 조건은 출산율과 관련 있는가? 

탐구질문을 만들 때 아래의 지리적 질문 템플릿(template)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무엇인가?
  • 어디인가? 왜 거기인가?
  • 다른 지역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무엇이 영향을 미쳤는가? → 전라북도의 합계출산율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출산장려금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지역의 생활SOC는 출산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왜 중요한가? 
  •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E. 안내질문

안내질문(guiding question)은 탐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설계된 질문입니다. 탐구질문이 다소 추상적인 성격이라면 안내질문에는 어떤 데이터를 사용해 질문에 답할 것인지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탐구질문 하나에 보통 2-4개 정도의 안내질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전라북도 시군구의 합계출산율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2. 전라북도 지자체는 출산장려금을 얼마나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가? 

3. 전라북도 지자체의 출산장려금 규모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전라북도 지자체의 생활 SOC 결핍 점수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F. 데이터 및 분석

안내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차례로 제시합니다. 데이터와 더불어 필요하다면 분석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1. 전라북도 시군구의 합계출산율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 국가통계포털 - 국내통계 - e지방지표 - 인구 - 합계출산율(시도/시/군/구)(2000-2021)

2. 전라북도 지자체는 출산장려금을 얼마나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가? 

→ 지방자치단계 출산지원정책 사례집(보건복지부)(참고문헌)

→ 중앙일보 ‘우리동네 출산축하금’(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312)

3. 전라북도 지자체의 출산장려금 규모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시군구별 출산장려금과 합계출산율의 상관관계를 계산한다.   

4. 전라북도 지자체의 생활 SOC 점수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지자체 생활환경 조건은 ‘생활 인프라 결핍지수’(https://interactive.krihs.re.kr/interactive/multipleDeprivationIndex)로 계산한다. 

→ 지자체의 출산율과 합계출산율의 상관관계를 계산한다. 

 

G. 데이터의 표현

수집하는 각각의 데이터를 어떤 형식(예, 표, 그래프, 지도, 텍스트 등)으로 제시할 것인지 미리 계획합니다.  

1. 전라북도 시군구의 합계출산율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 연도별 합계출산율 수치를 전국과 함께 그래프 및 수치로 제시한다. 

2. 전라북도 지자체는 출산장려금을 얼마나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가? 

→ 지자체별 출산장려금의 유형과 규모(금액)를 표로 제시한다. 

3. 전라북도 지자체의 출산장려금 규모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상관관계를 수치로 제시한다.  

4. 전라북도 지자체의 생활 SOC 점수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지자체의 생활 SOC 결핍지수를 수치로 제시하고, 상관관계를 수치로 제시한다.  

 

H. 예상되는 결론

앞서 제시한 각각의 데이터를 활용해 결론을 예상합니다. 

전라북도 시군구의 합계출산율은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을 것이다. 전라북도의 지자체마다 출산장려금의 유형과 규모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의 출산장려금은 지속적인 출산율의 하락을 감소하는데 기여할 수는 있지만 출산율을 뚜렷하게 상승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생활 SOC가 좋다고 평가되는 수도권 및 대도시일수록 합계출산율이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생활 SOC 결핍지수와 합계출산율 간에는 뚜렷한 관련성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I. 참고문헌

참고문헌 목록(3편 이상) - 전문서적, 논문에서 참고문헌을 찾습니다. 

김수정 2019, 저출산·고령화 시대 한국의 인구 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143-158.

박윤환, 2017, 지역 출산율과 출산장려 및 보육서비스의 공간적 패턴에 대한 연구: 탐색적 공간자료분석 기법의 활용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1(1), 145-168. 

보건복지부, 2022, 2021년도 지방자치단계 출산 지원정책 사례집. 

이유진, 김상헌, 김나영, 2020, 출산장려금 지급수준과 출산율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학보, 54(4), 173-197. 

 


연구계획서 평가하기 

아래의 항목에 따라 학생들의 연구계획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제목을 통해 연구의 주요 내용과 목표,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가? 
  • 연구 전체적인 개요를 이해하기 쉽고 명료하게 제시하였는가? 
  • 연구 질문을 이해하고, 결과를 해석하는데 방향을 제시해 주는 지리 개념을 제시하였는가? 
  • 연구를 관통하는 짧고 간명한 핵심질문을 제시하였는가? 
  • 핵심질문을 보조하는 안내질문들을 제시했으며, 안내 질문은 지리적이며, 제시된 시간 내에 데이터를 통해 답변할 수 있는 성격인가?
  • 안내 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파악하였는가? 제시한 데이터는 적절하며, 데이터의 수집 계획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가?
  • 데이터의 표현방법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구상하고 있는가? 
  • 예상되는 결론은 제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당하게 계획되었는가?
  • 연구 주제 및 질문과 관련한 참고문헌을 3편 이상 선정하여 제출하였는가?
  • 관련 문헌을 미리 읽는 등 연구에 대해 진지한 모습을 보여주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