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단원

한지탐 [04-02] 국토의 변화와 지속가능성

by ziriboy 2022. 11. 16.

학습목표: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진로 지역환경정책연구원, 자연과학교수, 정부행정전문가, 지리정보시스템(GIS)전문가

핵심 아이디어 
- 공간정보기술(예, 항공사진)과 야외조사를 통해 지표면의 변화와 보전, 복원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지표 환경은 개발(도시화, 농업, 산업, 관광지 등)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 환경에 대한 관점은 자연환경의 개발 및 보전의 방향 및 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아래와 같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1. 국토는 얼마나, 왜 변했는가?
2. 지표면의 변화를 어떻게 조사할 수 있는가? 
3.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해 보자. 
- 하시동 해안사구의 침식과 복구 


3. 사례 지역을 중심으로 야외조사를 수행할 것을 계획한다.  
- 야외조사 지역 선정의 기준
   1) 산지, 하천, 해안지역 중 한 곳을 선택하여 야외조사(답사)를 진행한다. 
   2) 방문하기 수월한 지역을 선정한다. 
   3) 인간의 개발 행위로 인해 급속하게 변화된 지역을 선정한다. 
   4) 비교 가능한 지역을 동시에 선정할 수 있다(예, 새만금 vs. 신두리)
- 야외조사의 방법 :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1) 조사대상 지역을 방문해 주제와 관련된 지형 및 경관을 관찰할 수 있다.
   2) 지역을 방문하기 전 질문을 선정하고, 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수집할 수 있다. 
   3) 전 공간정보기술을 통해 답할 수 있는 질문인지, 야외조사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인지 명확하게 구분한다. 

조사지역의 사례 
1) 산지지역
- 레저/관광지 개발(예, 골프장, 스키장 등),
- 산업활동(예, 석회석 채광 등),
- 농업활동(예, 고랭지 농업)으로 인한 산지 훼손 및 생태계 단절

2) 하천지역
- 댐⋅보 건설로 인한 하천의 형태 및 생태환경의 변화(예, 4대강 보 건설) 
- 생태하천의 개발, 도심하천의 복개와 복원(예, 전주 건산천,  부산 초량천 생태하천 복원, 군포시 산본천, 서울시 청계천 등(
3) 해안지역
- 관광객 증가에 따른 해안지역의 경관 및 토지이용 변화(예, 강원도 양양 죽도해안의 경관 및 토지이용 변화 조사) 
- 환경에 대한 인간의 관점이 미친 영향(예, 복구된 해안사구(예, 충남태안 다사리 사구), 잘 보존된 해안사구(예, 충남 보령 소황사구)
- 해안침식의 영향과 지속가능한 대응 방안(예, 동해안의 해안침식(예, 하시동 사구)과 침식방지 기술(예, 경성공법과 자연기반해법)
- 방조제 및 대규모 해안시설의 건설로 인한 해양환경의 변화(예, 새만금 방조제, 개화 간척지, 인천 송도 등)

 

 


1. 우리 국토는 얼마나 왜 변했을까? 

산림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현재와 예전 항공사진을 비교할 수 있다. 지금은 테크노벨리로 유명한 판교역 주변은 20년 전(1995-2005년) 비닐하우스 단지였다.

 

지표면의 변화

우리나라의 국토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지표면의 변화를 기준으로 아래의 질문을 조사해 볼 수 있다.

  • 급격한 변화를 경험한 곳은 어디인가?
  • 그 지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 변화의 원인/배경은 무엇인가? 
  • 개발과 보전에 대한 인간의 관점과 변화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지표면의 변화를 어떻게 조사할 수 있을까? 

  • 다른 시기에 촬영된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지표면의 변화를 확인하고 원인을 조사할 수 있다. 
  •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 - 2008년부터 현재까지 항공사진을 제공한다. 특히, 카카오 맵의 로드뷰를 이용할 경우 다른 두 시기의 로드뷰를 비교할 수 있다.
  •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 조사하고 싶은 지역의 지도 뿐 아니라, 시기별 지형도(1910-3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등), 지역별 항공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사진 참조
  • 산림청 산림공간정보서비스 - 현재의 지도와 항공사진 뿐 아니라 이전 세 시기(1971-1974, 1986-1992, 1995-2005)의 항공사진을 제공한다. 분할되지 않은 항공사진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하기 쉽다. 
  • 구글어스 프로 - 과거 이미지(보기 메뉴)를 통해 1984년부터 현재 시점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과거 영상의 경우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는 예전 송파강의 일부였다. 출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1910-1930년 지도). 북쪽의 신천강과 남쪽의 송파강 사이에는 토사가 쌓여 형성된 잠실도가 형성되어 있다.
1970년대 들어 서울시는 잠실도를 육지화하는 공사를 단행했다. 송파강으로 흘러드는 물을 막고, 신천강의 유로를 확대하여 현재의 한강 유로가 형성되었다. 예전의 유로가 남아 있는 흔적을 석촌호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학생활동

  • 우리 국토에서 가장 뚜렷하게 변화한 지역은 어디일까?
  • 위성사진/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국토의 변화를 분석한다. 전국을 비교하기보다는 일부 관심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 지표는 왜 변하하는가? 예) 강원도 삼척일대 

 

 


2.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해 보자! 

학생활동 해안지역의 변화와 보전 - 강릉 하시동 해안사구의 침식과 복구 

강원도 강릉에 가면 하시동 해안사구를 볼 수 있다. 이곳은 생태경관보전구역으로 지정되어 그 생태적 가치를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해안사구가 심각하게 침식되면서 해안선이 후퇴하고 산책로가 통째로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는 방벽을 쌓고 돌제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이러한 조치가 얼마나 지속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번 활동에서는 아래의 중요한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이다:

  • 해안사구란?
  • 하시동 해안사구는 왜 침식되었을까?
  • 해안사구의 침식을 막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 해안사구의 침식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 왜 이견이 있을까?

활동 바로가기 

강원도 강릉 하시동 해안사구

 

학생활동 환경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 - 신두리 해안사구 사례 

신두리 해안사구를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인간의 관점이 환경의 이용과 보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활동이다. 야외조사활동과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 어디인가? 신두리 해안사구란?
  • 신두리 해안사구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 신두리 해안사구는 변화해 왔는가? 
  • 환경에 대한 관점은 왜 중요한가? 
  •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신두리 야외조사

활동 바로가기

신두리 해안사구

 

 

 

 

 

 

 

 

 

 

 

 

학생활동
"지표 변화가 예정된 곳은 어디인가?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가?"

제주 제2공항 예정지
제주 제2공항 예정지의 국토환경성평가 결과. 출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학생활동
"전주 건산천 사례 - 도심하천을 복원해야 할까?"

야외조사를 위한 프로그램

전주 노송천의 변화 출처: https://blog.naver.com/ymcm44/220367300054

전주 노송천 이야기 
전라북도 전주시를 가로지르는 노송천이라는 작은 하천이 있습니다.
 과거 노송천은 전주 시민들의 물놀이터와 빨래터가 되어주는 등 시민들의 삶과 함께 했던 곳이며, 각종 물고기와 식물들의 서식처가 되기도 했습니다. 노송천 주변은 초중고등학교가 밀집해 시민들의 통행이 잦은 구간이었지만 길이 매우 협소하여 안전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또한, 당시 생활하수가 여과 없이 노송천으로 흘러들어 악취가 나는 등 주민들의 위생과 환경에도 악영향을 주었습니다. 이에 1963-1991년 사이 노송천에 대한 복개공사가 진행되었고, 복개된 노송천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져 갔습니다.
최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노송천을 복원해 시민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습니다. 노송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해 도심의 경관을 개선하고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자는 것이죠. 이에 따라 2007 노송천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콘크리트에 갇혀있던 노송천이 다시 시민들의 곁으로 돌아왔습니다.
노송천(자연환경)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자연환경의 이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