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단원

핫플레이스 - 얼마나 변했는가?

by ziriboy 2024. 3. 18.

학생활동 핫플레이스, 얼마나 변했는가?

핫플레이스의 변화 과정을 조사해 보자. 여러분이 해야할 일은 카페거리로 유명한 서울시 서울숲(서울숲2길)의 업종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방법'에 따라 아래 표를 완성해 보자. 

조사방법
대상지역: 서울숲2길 
조사내용: 2009년과 2023년 사이 서울숲2길의 업종 변화 조사 
조사방법: 로드뷰 기능 활용해 현재의 거리모습과 특정 시점(예, 2009년) 거리의 모습을 비교한다.
1) 다음지도에서 '서울숲 2길'을 찾고, 로드뷰 기능을 실행한다.
2) 2009년의 거리뷰를 선택하고, 조사대상 건물(예, 5-12, 15-25)의 2009년 업종을 확인하고 워크시트에 기록한다. 
3) 조사한 업종을 4가지로 분류한다: 주민 거주지역(R), 주민대상의 근린 상업시설(N), 외지인 대상의 카페, 음식점, 상점(T), 프랜차이즈 업종(F). 최대한 추측하고, 2개 이상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4) 2009년의 업종과 2023년의 업종을 비교한다. 변화 유형에 따라 색칠한다: 변화하지 않음(하늘색), 주거지에서 외지인 대상 업종으로 변화(노랑), 근린 상업시설에서 외지인 대상 업종으로 변화(오렌지), 외지인 대상 업종에서 프랜차이즈로 변하(보라).
5) 지도에 색칠한다. 패턴을 확인한다.  
질문: 서울숲2가는 주로 어떤 방향으로 바뀌었는가? 
추가질문: 대형 프랜차이즈와 체인점들이 독특한 지역 문화를 대체함으로써, 지역 고유의 특색과 개성이 사라지는 것을 '백화현상'이라 한다. 서울숲2길에서 백화현상의 증거를 찾을 수 있는가? 

 

다음지도의 로드뷰 모습 - 왼쪽 상단의 화면을 통해 2시기를 동시에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도 - 조사 대상 지역(서울숲 2길)


워크시트 - 서울숲2길의 업종 변화(2009-2023)

번호 2009년 업종 분류 2023년 업종 분류
1 건강원 T Samo Ondoh (패션잡화) T
2 의류
만남호프
의류
부동산
N
T
N
N
Project Miso (양말 소품샵)
Paper doll mate (문구)
Acua dell elba (향수)
다산 부동산
T
T
T
N



3 정육점
세탁소
N
N
포지티브 카페
하루 필름(셀프포토)
T
T

4 주택 R 테디스오브 카페 T
5     GS25 편의점 N/T  
6     럭키마르쉐(여성의류) T  
7     주택 R  
8     퍼먼트 베이커리 T  
9     주택 R  
10     주택 R  
11     (이름없는) 잡화점
어프어프 소품샵 
T
T
 
12     에피타이트 카페 T  
13 신점의명인(점집) T 라코스테 의류 F
14 서울숲마트 N 고카트 대여소 T
15     빌라 R  
16     빌라 R  
17     크림라벨 카페  T  
18     올드문스튜디오(셀프포토) T  
19     빌라 R  
20     펜두카(페브릭, 자수) T  
21     윤경양 식당 T  
22     갤러리 더봄 T  
23     파르코 피자
포토 시그니처(셀프포토)
T
T
 
24     섬세이 테라리움(카페) T  
25     이월로스터스(커피) T  
26 한강모텔 T 노가리마켓(주점) T

 

워크시트 파일

worksheet 78.hwpx
0.10MB

 

** 결과 예시 **

 

학생 결과물 예시 1

 

학생결과물 예시 2

 

 

심화활동 핫플레이스의 변화 - 누가 이익을 보았을까? 아래 빈칸을 채워보자. 

  주민 비즈니스
(근린생활업종, 외지인 대상업종, 프랜차이즈를 구분해서 답해 보자)
지자체
젠트리피케이션을 통한 이익 - 지역가치 상승으로 부동산 가치 증가
- 개선된 인프라(정리된 경관)와 환경
  - 지역경제 활성화 및 더 많은 세금 확보
- 지역이미지 개선 및 브랜드 가치 상승
젠트리피케이션을 통한 문제 - 생활비 증가 및 임대료 상승으로 이주 압박
- 지역공동체 감소 및 사회적 관계 약화
- 관광객으로 인한 소음과 혼잡
  - 주민이주로 사회적 불안정 및 주거문제
- 지역내 불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