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단원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연습

by ziriboy 2024. 6. 19.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해 근거를 찾아보자! 

1.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활동에서 작성한 탐구질문 중 조사하고 싶은 탐구질문을 선정한다. 

2.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 선정한 탐구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데이터 소스를 찾는다.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는 지리수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공간정보서비스이다. 다문화 가구, 귀농/귀촌, 1인가구, 인구자연증가, 65세 이상 인구, 노령화 지수, 인구밀도 등 인구와 가구 관련 정보, 통근/통학인구 변화 등 주거와 교통 관련 정보, 생활편의시설, 보육시설 현황, 공공도서관 분포 현황 등 복지와 문화 관련 정보, 사업체수 분포 현황, 농림어가수 현황, 서비스업 현황, 치킨 전문점 변화 등 노동과 경제 관련 정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현황, 무더위 쉼터 현황, 음주율/흡연율 현황, 인구 천명당 범죄 발생 수 등 건강과 안전 관련 정보,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 등 환경과 기후 관련 정보 등 5개 분야의 180개 지표에 대한 지리정보를 지도와 표, 그래프를 통해 제공한다. 제시되는 지도는 시도, 시군구, 읍면동 등 스케일을 조절할 수 있고, 색상, 버블 등 지도의 표현방식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제공정보

 

3. 찾은 데이터를 활동지(아래 그림 예시)에 정리한다. 핵심 데이터(key data)는 탐구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하나의 유형보다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근거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 

4. 활동지 '청송군 무료버스 주제'를 위한 데이터 찾기 스프레드시트

학생들이 작성한 데이터 소스 및 데이터 설명 예시

 

 


5. 심화 - 학생들이 데이터 수집에 익숙해지고 나면, 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리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웹서비스 목록을 제시해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