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활동 지리적 질문을 위한 맞춤형 GPTs
// 인공지능(GPTs) //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를 활용해 자신만의 생성형 인공지능(GPTs)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GPTs(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s)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글을 읽고 쓰는 언어 모델이다. GPT는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언어 패턴과 문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를 생성하거나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지리적 질문과 지리탐구를 위한 맞춤형 GPTs 소개
Geo Inquiry Guide는 지리교사와 학생들이 지리적 질문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 도구이다. 이 GPTs는 지리적 사고력과 지리탐구 능력의 향상을 위해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 지리적 질문 생성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를 바탕으로 7가지 질문 틀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리적 질문을 생성한다. 이 질문 틀은 다음과 같은 사고를 유도합니다:
- 무엇인가?
- 어디인가?
- 왜 거기인가?
- 다른 지역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 어떻게 변해 왔는가?
- 왜 중요한가?
-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지리정보 데이터 추천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입력한 질문에 대해 탐구에 적합한 데이터 소스를 추천한다. 예를 들어, 구글어스, 카카오 지도, SGIS 통계주제도와 같은 도구를 제안하여 학생과 교사가 효과적으로 질문에 대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지리적 질문의 생성을 위해 아래의 논문 내용을 학습시켰다. 이종원 (2024). 지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2(4), 77-91.
- 질문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지리정보의 유형과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정보웹서비스 목록(https://kgeography.tistory.com/66)을 학습시켜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했다.
https://chatgpt.com/g/g-67728df3d5d48191a5c2ca534d4d9d55-geo-inquiry-guide
ChatGPT - Geo Inquiry Guide
지리적 질문 생성 및 데이터 추천 지원.
chatgpt.com
지리적 질문을 위한 GPTs를 만들어 봅시다!
ChatGPT의 첫 화면에서 GPT 탐색을 선택한다. -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만들기'를 선택한다.
이제 2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었을 것이다. 왼쪽은 새 GPT 초안으로 '만들기'와 '구성'으로 구성되었다.
오른쪽은 '미리보기' 화면이다.
왼쪽의 만들기 창에 원하는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한다. 예) "학생들이 특정 주제를 제시하면, 그에 맞춰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주는 GPT를 만들고 싶어" + 엔터
이제 만들고자 하는 GPT의 이름과 로고(이미지)를 제작해 줄 것이다. 마음에 든다면 선택하고, 바꾸고 싶다면, 의견을 말하면 된다.
이 단계까지 오면, 이미 지리적 질문을 위한 GPTs는 제작되어 있을 것이다(아래 그림).
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은 아래의 지리적 질문 틀에 맞춰 지리적 질문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만들기 창에 다음과 같이 추가로 입력한다. 예) 나는 다음과 같은 틀에 맞춰 지리적 질문을 제시하고 싶어. 1. 어디인가? 왜 거기인가? 2.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무엇이 영향을 미쳤는가?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3. 다른 지역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다른 지역과 어떻게 다른가? 4.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그것은 왜 중요한가? 5.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이제 개선된 지리적 질문 GPTs를 시험해 보자. 예) "전주 한옥마을의 오버투어리즘"을 입력해 보자.
'1단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활동]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지리적 질문과 탐구방법 찾기 (0) | 2025.03.16 |
---|---|
데이터 및 테크놀로지 활용 학생활동 목록 (0) | 2024.06.22 |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연습 (0) | 2024.06.19 |
[학생활동]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0) | 2024.06.19 |
[자료] 증거찾기 활동 "왜 대림동일까?"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