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단원

[학생활동] 지역 경제가 활기찬 곳은 어디인가?

by ziriboy 2024. 4. 2.

활동 목적

우리나라에서 산업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은 어디일까? 어떤 업종이 그 성장을 이끌고 있을까?

이 활동에서는 국토연구원의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를 활용하여, 산업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생산 활력이 높은 지역')을 찾고, 그 지역에서 활발한 산업이 무엇인지 파악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산업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을 찾을 수 있다. 
  • 해당 지역의 공간적 패턴을 찾을 수 있다. 
  • 현재 산업활동이 활발한 지역을 만드는 산업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 [심화] 지역의 산업성장과 산업구조의 변화를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역활력지수란? 

'지역이 얼마나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숫자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즉, 우리나라의 여러 지역 중 어디가 더 활기차고, 경제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려주는 데이터이다. 이 지수는 크게 세 가지를 종합해서 만들어진다. 

구분 설명 예시 지표
인구활력도 해당 지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실제로 살고, 일하고, 머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지역의 인구 기반과 유동 인구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경제활동인구 수, 학령인구 수, 체류인구 수
소비활력도 지역 내에서 소비 활동이 얼마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상업과 서비스업의 경제적 규모를 반영한다.
카드이용금액, 음식점·마트 매출액, 총수입금액
생산활력도 지역에서 얼마나 활발하게 제품이나 서비스가 생산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산업 활동과 고용 창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사업체 수, 일자리 수, 창업률, 사업체 매출액

 

서울 강남은 인구도 많고 소비도 활발하니까, ‘소비 활력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경기도 화성은 반도체 공장이 많고 일자리가 많아서, ‘생산 활력도’가 높습니다.

반면, 인구가 줄고 소비가 활발하지 않은 지역이라면 전반적인 활력지수가 낮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국토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지역활력지수 시각화 지도’에서는 전국의 시군구 또는 읍면동 단위로 인구, 소비, 생산 활력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학생들은 이 지도를 통해 각 지역의 활력지수를 직접 검색하고, 항목별(예: 생산활력도만 보기)로 가중치를 조정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활력도만 100%로 설정하면 어떤 지역에서 산업 활동이 활발한지 색깔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지도에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된 공간적 특징이나 지역의 산업 구조를 분석해 볼 수 있다. 

국토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지역활력지수 사이트는 인구활력도, 소비활력도, 생산활력도 등 3가지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위 지도는 생산활력도에 대해서만 가중치 1을 부여한 결과를 표시한 것이다.
검색 결과의 오늘쪽 화면에 보여지는 화살표를 클릭하면, 결과를 '표'로 확인할 수 있다.

 


활동 단계

1단계: 생산 활력도 높은 지역 찾기

  • 우리나라에서 생산활력도가 높은 지역을 찾는다.
  • 국토연구원의 ‘지역활력지수(Vitality Index) 에 접속하여 '시군구'를 기준으로 ‘생산 활력도’만 가중치를 1로 설정하고, 인구/소비 활력도는 0으로 조정한다. '적용하기'를 눌러 결과를 확인한다. 
  •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생산활력도가 높은 상위 15개 지역을 확인하고, 워크시트에 정리한다(아래). 단, 개별 구는 하나의 시로 계산한다(예, 강남구, 중구 모두 서울시). 상위 5개는 이미 채워져 있기 때문에, 나머지 10개만 채우면 된다.

지역 경제가 활기찬 곳.hwpx
0.07MB
지역 경제가 활기찬 곳.pdf
0.04MB

2단계: 지역별 산업 정보 조사하기

  • 생산활력도가 높은 지역에는 어떤 산업이 분포하고 있을까? 
  • 제공된 PDF 자료(한국은행, 2023년 산업 보고서)에서 '지역명을 검색하여'(예, '화성' 검색) 업종과 대표 산업체를 찾아 기록한다. 

한국의 제조업 한국은행 2023.pdf
3.48MB

3단계: 결과 해석하기

  • 생산활력도가 높은 지역은 주로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예: 수도권 중심?, 전국 분산?)
  • 생산활력도가 높은 지역에 주로 나타나는 산업의 유형은 무엇인가? 
  • [심화] 생산활력도가 높은 지역들의 주요 산업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산업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설명해 보자. 이러한 변화가 지역 간 경제 격차나 산업 불균형 문제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 현재 정책은 이런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