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세계 자연유산 - 한국의 갯벌
//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한국의 갯벌은 대한민국의 서남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의 4곳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갯벌은 4가지의 갯벌 모습(하구형, 개방된 만입형, 다도해형, 반폐쇄형) 중 하나를 대표하며, 세계적으로 22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2,150종의 동식물이 보고되어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47종의 고유종과 5종의 멸종위기 해양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 이동로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남쪽 오스트레일리아 인근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철새의 이동 경로이다. 이 경로를 따라 매년 약 5천만 마리의 철새들이 이동하며, 이들에게 한국의 서남해안은 겨울철 도래지이자 중요한 중간 기착지로 기능한다.
원래는 갯벌이 6곳이었다고?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선 먼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갯벌 중에서는 2010년에 현재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4곳과 함께 무안갯벌, 부안갯벌 등 총 6개 갯벌이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그러나 최종 심사 과정에서 무안갯벌은 일부 주민들의 어업 활동에 대한 우려로 인해 반대가 있었고, 부안갯벌은 새만금 개발 계획으로 결국 4개의 갯벌만 세계유산으로 신청하게 되었다. 이에 세계자연유산의 자문기구인 IUCN은 한국의 갯벌이 등재 구역이 좁고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이후 한국은 갯벌의 면적을 넓히겠다는 약속을 조건으로 세계유산으로 조건부 지정을 받게 되었다. 2023년에는 무안갯벌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다시 등재되어 세계유산 지정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아래 갯벌지도에서 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과 무안갯벌과 부안갯벌의 위치를 찾아보자.
왜 서해안에 주로 갯벌이 발달했을까?
한국 서해안에 갯벌이 발달하는 주된 이유는 지형, 조류, 강의 유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1. 완만한 지형: 서해안은 다른 지역에 비해 평탄하고 완만하게 수심이 깊어집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은 갯벌이 형성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2. 조석 간만의 차가 큼: 서해안은 조석 간만의 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간조 때 해수가 멀리 빠져나가고 만조 때 들어오면서 퇴적물이 쌓여 갯벌이 형성됩니다. 아래 동영상을 확인해 주세요. 동해안은 조위(해수면의 높이)가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서해안은 급격하게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강물 유입: 한강, 금강, 영산강 등 큰 강들이 서해로 유입되면서 많은 양의 퇴적물을 가져옵니다. 이 퇴적물들이 해안가에 쌓이면서 갯벌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안갯벌은 왜 문제가 되었을까? 부안갯벌과 새만금 간척사업
새만금 방조제 건설은 주변 갯벌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새만금 방조제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과 군산시에 걸쳐 있는 거대한 방조제로, 이 지역의 농업용지 확보, 산업단지 개발, 신도시 건설 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방조제의 건설은 여러 환경적 문제를 야기했는데, 특히 갯벌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우선, 갯벌 면적이 감소했습니다. 방조제 건설로 인해 물의 흐름과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크게 변화하였고, 이는 갯벌의 면적을 크게 감소시켰습니다. 둘째, 수질을 악화시켰습니다. 방조제 건설로 인해 내해와 외해의 흐름이 차단되고, 이는 수질 악화를 초래하였습니다. 새만금 건설을 위한 방조제는 2008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질문
한국의 갯벌은 아래 등재조건 중 어떤 항목을 만족시켰을까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조건을 강조했을까?
VII. 탁월한 자연경관 및 자연미
VIII. 지구역사의 주요 단계를 증명
IX. 생태학적 및 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중요한 사례
X. 다양한 생물 종들을 보존하는 중요한 자연 서식지
'4단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활동] 우리나라 풍력발전기는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 (0) | 2024.05.07 |
---|---|
[자료] 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할까? (1) | 2024.04.30 |
[자료] 한국의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0) | 2024.04.30 |
학생활동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을 찾을 수 있을까? (0) | 2024.04.01 |
한지탐 [04-03] 자연재해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