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9

해안지역의 변화와 보전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학생활동 해안사구의 침식과 복구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개요 성취기준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를 위해 개발되었다. 해안침식이 활발한 지역을 대상으로 해안침식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안침식에 대처하는 방법의 유형과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초점이다.  탐구질문 해안사구란?해안침식이란?해안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해안사구란? 해안사구의 형성사구는 바람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식물, 암석, 또는 다른 장애물에 부딪혀 쌓이면서 만들어진 모래 언덕을 말한다. 특히 해안가에 위치한 모래 언.. 2024. 10. 20.
우리지역 자연재해 위험 평가 학생활동 "우리지역에는 어떤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할까?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목표 - 내가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해일, 산사태, 폭염, 지진 등 자연재해 위험을 조사해 자연재해의 위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특징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제시된 자연재해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예,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 재난 데이터 등)를 활용한다.  공간정보웹서비스 기반 자연재해 탐구학습 모델단계지리적 질문수업활동1단계탐구질문 정의 및 중요성 인식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탐구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학생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사례를 떠올리며, 경험과 지역 사회의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의 기초를 마련한다.2단계공간정보웹서비스 확인 및 평가탐구 질문을 해결하기.. 2024. 10. 17.
공공 & 빅데이터 포털 리스트 [작업 중] 공공 데이터와 빅 데이터를 찾을 수 있게 모아둔 포털들이 많아졌다. 지리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런 포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stcis.go.kr) 네이버 데이터랩(datalab.naver.com/)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bigdata-culture.kr/bigdata/user/main.do) 날씨마루(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플랫폼)(bd.kma.go.kr/kma2020/)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bigdata-realestate.kr/) 한국관광데이터랩(https://datalab.visitkorea.or.kr/datalab/portal/main/getMainForm.do) 국가교통 데이터 오픈마켓(www.bigdata-tran.. 2024. 10. 10.
시도별 인구 변화 (1925-2010) 학생활동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한 지역은?// 인공지능 활용 // 1925년부터 2010년 사이 시도별 인구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가장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찾고 그 이유와 영향을 추론하는 활동이다. 데이터는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다운받게 되며, 데이터의 시각화와 추론은 생성형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다.  1.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데이터 다운국가통계포털(KOSIS) - 국내통계 - 주제별 통계 - 인구 - 인구주택총조사 - 인구부문 - 총조사인구총괄(1925년-2010년) - 총조사인구총괄(시도/성/연령별): '조회' 버튼을 통해 2025년부터 2010년 사이 시도별 인구 데이터(엑셀)을 다운 받는다(성별, 연령별 데이터는 제외).  2.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 2024. 10. 10.
서울시 교육청 지리과 1정 연수 서울시 교육청 주관 지리과 1정 연수를 위해 서울시 교육연수원에 다녀왔습니다. 오늘 연수의 주제는 "생성형 인공지능과 지리교수법" 입니다. 오늘 연수시간의 대부분(98%)은 실습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오늘은 연수원에서 수강생들에게 ChatGPT 유료버전을 모두 구매해 주어 계획했던 실습을 무사히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2024. 8. 2.
[학생활동] 영화 만들기 학생활동 영화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주제에 맞는 영상(영화)을 제작하는 활동이다. 활동 순서이번에는 크게 3가지의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다. 1. 생성형 인공지능(예, ChatGPT, Claude 등)를 활용해 원하는 주제에 대한 스토리를 작성한다. 직접 스토리를 작성해도 되고,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스토리를 작성할 수도 있다. 작성된 스토리를 바탕으로 스토리의 장면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다. 2. 생성형 인공지능(예, Midjourney, DALL-E 등)를 활용해 각 장면에 대한 이미지를 작성한다. 3. 생성형 인공지능(예, KREA)를 활용해 이미지를 연결하는 동영상을 제작한다. 예시 1.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스토리와 이미지를 완성한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2024. 7. 28.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주제에 맞는 노래는 제작하는 활동이다. 노래 듣기 - 제목: 썰물의 속삭임활동 순서1. 생성형 인공지능(ChatGPT)를 활용해 노래 가사를 작성한다(예, "갯벌의 아름다움과 특성을 표현하는 노래가사를 작성해줘").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노래가사를 직접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래 가사 작성 과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은 창의력과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노래 가사의 구조를 이해하고, 각 부분의 목적을 알면 학생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노래에서 Verse(버스), Chorus(후렴), Bridge(브릿지), Outro(아웃트로)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들에.. 2024. 7. 27.
[학생활동] 나는 어디일까? 학생활동 나는 어디일까?// 인공지능 // 배경 한 지역(국가)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을 준비하고, 어디인지 추측해 보는 활동이다. 지역에 대한 학습에 앞서, 지역에 대한 학생들의 선지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오개념을 개선할 수 있다.  활동방법사진 모둠을 제시하고, 어디인지 묻는다. "나는 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입니다. 이 사진들은 그 국가에서 찍은 사진들입니다. 나는 어디일까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모둠별로 돌아가며 정답과 이유를 발표한다. 정답을 확인한다. 인공지능을 사진을 얼마나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까? 생성형 인공지능(예, ChatGPT)을 활용한다면 사진을 업로드 하고, 어느 국가인지 물어보자. 2024. 7. 26.
[학생활동] 스무고개 놀이 학생활동 내가 생각하는 하천을 맞춰봐!// 인공지능 // 배경 '스무고개' 놀이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지리적 지명을 서로 맞추는 놀이이다. 하천, 산맥, 강, 도시 등 주제를 먼저 정해놓고, 스무고개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예시나: 스무고개 할 줄 알아?ChatGPT: 네, 스무고개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생각하고 있을 테니, 질문을 하면서 그게 무엇인지 맞추시면 됩니다. 질문은 예/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형태로 해 주세요.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한 가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질문을 시작해 주세요!나: 그냥 스무고개가 아니라 지명 관련 스무고개를 하고 싶어. 이번에는 세계의 하천과 관련된 스무고개를 해 보자.ChatGPT: 좋습니다. 세계의 하천과 관련된 지명을 생각해 보았.. 2024. 7. 26.
서울 지리교과 연구회 직무연수 6월 29일 서울 지리교과 연구회 직무연수가 있었습니다. 연수의 제목은 ”한국지리 탐구의 재발견: 탐구와 기술을 통한 현대적 접근“ 입니다.무엇보다 오후 5시에 연수가 끝났음에도 모두 자리를 지키고, 새로운 스토리를 기다리는 듯한 그 분위기는 오늘 연수의 최고 장면이 아닌가 합니다.대부분 선생님들은 서울, 경기 지역에서 오셨지만, 일부 선생님은 멀리 김해, 부산, 진안에서 참석하셨습니다. 오늘 연수는 크게 4가지 주제로 구성되었으며, 점심식사 전에 2가지 주제, 점심식사 후에 2가지 주제를 각각 다루었습니다. 2024. 7. 8.
이화 지리교사 캠프 “제1회 이화 지리교사 캠프”가 2월 19일 이대 교육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멀리는 03학번부터 가까이는 18학번까지 참여했습니다!!1부(오전)는 “한지탐과 지리적 질문”,2부(오후)는 “인공지능으로 가르치는 지리” 시간입니다.그리고 틈틈히 선후배간 교류의 시간도 자연스럽게 진행되었습니다^^이번 연수의 특징은 ChatGPT plus 버전에 맞춰 연수 콘텐츠를 준비하고, 참가자 모두 plus 버전을 가입해서 실습한 부분입니다. 예전에 비해 훨씬 다양하고 강력한 기능의 학습이 가능합니다. 2024. 7. 8.
데이터 및 테크놀로지 활용 학생활동 목록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학생활동] "핫 플레이스는 얼마나 변화했는가?", 다음지도 로드뷰 활용 바로가기[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활용 바로가기 [학생활동] "외국인은 어디에 있을까?" 외국인 인구비율이 높은 곳은 어디일까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활용 바로가기 [학생활동]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지역 변화(반도체 vs. 조선),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활용 바로가기[학생활동] "지역경제가 활기찬 곳은 어디인가?" 지역경제활력도 분석하기, 국토연구원 지역활력지수 활용 바로가기[학생활동] 고향사랑 기부제 기부금 활동 방안 제안, 국토연구원 생활인프라 결핍지수 활용 바로가기[자료] 세계 자연유..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