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8

[자료] 왜 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보다 넓은 것일까? 자료 왜 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보다 넓은 것일까? //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지도에서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해양수산부 해양공간지도 - 해양공간종합지도 - 카테고리에서 '해양생태계 관리' - '영해기점 무인도서', '영해' 등 필요한 정보를 선택한다.  왜 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보다 넓은 것일까?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의 영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것은 서해안의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영해는 해안선에서 12해리까지의 범위이다. 해안선이 단조롭고 섬이 없는 동해안의 경우 해안선을 따라 12해리까지 영해가 나타난다. 이를 '통상기선'이라 한다. 하지만,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발달한 지역의 경우 해안선보다는 제일 외곽의 섬의 연결한 다음 그 지점으로부터 12해리를 .. 2024. 6. 22.
[학생활동] 북한 관광지 - 어디를 먼저 개발해야 할까? 학생활동 북한 관광지 - 어디를 먼저 개발할 것인가? 북한에는 여러가지 사업 기회가 존재한다. 정치적 리스크가 존재하는 초기 단계에는 과도한 설비 및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지 않는 관광산업으로 진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과거 개성이나 금강산 관광의 경험이 있어 남북관계가 안전화된다면 관광산업을 다시 시작하기는 매우 유리한 상황이다. 관광산업은 북한정부와의 협약을 통해 관광산업 권리를 획득하고, 남한 여행사가 고객을 모집하고 북으로 보내면, 북한의 현지 여행사가 여행상품 운영과 여행객 지원을 책임지는 방식이 된다. 대북사업으로서 관광사업의 기회와 위협은 아래와 같다. 기회- 산, 해변 등 북한은 우수한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지구상에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공산주의 국가라는 호기심을 자극하여, .. 2024. 6. 22.
[학생활동] 대북투자 시나리오 학생활동 대북투자 시나리오 대북투자 시나리오 3가지를 읽고, 투자하고 싶은 대북 투자 혹은 투자가 필요한 대북 투자를 선정해 보자. 이유는 무엇인가? 대북 투자 시나리오 1.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하던 철광석을 무산광산에서 수입할 수 있을까? 북한의 무산에 아시아 최대의 철광석 매장지가 있다. 무산광산의 추정 매장량 30억톤, 가채 매장량 13억톤에 달한다. 무산광산은 외부로 드러난 것을 채굴하는 노천광산 방식이라 산을 깎아내며 점점 평탄화되는 모습이다. 무산광산에서 캐어낸 철광석은 무산선과 함북선 철도를 통해 함경북도 청진시에 있는 김책제철소로 보내진다.  여러분이 포스코 원료 수입 담당자라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하던 철광석을 무산광산에서 수입할 것인가?기회- 남한은 광물자원을 많이 소비하는 산업구.. 2024. 6. 22.
[학생활동] 기차타고 북한 여행 학생활동 기차타고 북한 여행 개요북한의 주요 교통수단은 여전히 기차이다. 주사위 게임을 통해 북한의 철로를 따라 북한 전역을 여행하며, 북한의 주요 도시의 위치와 특징을 이해하는 게임 활동이다.  준비물게임 시작 전 보드판(아래 사진)을 준비한다. 도시카드를 잘라 3장씩 겹쳐 놓는다. 즉, 하나의 도시별로 도시카드가 준비되어 있다.  OX 질문카드는 잘라서 엎어 놓는다. 주사위 1개진행방법2-5명이 게임에 참여한다. 각자 1개의 말을 갖고,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대로 전진한다. 단, 주사위의 1과 2는 1칸, 3와 4는 2칸, 5과 6은 3칸을 움직인다. 말은 철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동일한 지점에 2명 이상이 함께 머물 수 있다. 출발지점은 문산이며 도착지점은 속초이다. 단, 신의주, 혜산, .. 2024. 6. 21.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다음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20개 기업(2021년 기준)의 목록이다. 이 표를 토대로 아래의 질문에 답해 보자.  1.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을 찾아보자 (4-5가지)2. 이들은 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것일까? 순위업체명업종배출량 (단위: 톤)1포스코철강78,490,2072현대제철철강28,489,3053삼성전자반도체14,494,4474쌍용 C&E시멘트10,609,9445S-Oil정유9,774,5286엘지화학석유화학8,839,5647GS 칼텍스정유8,229,6878현대 오일뱅크정유7,323,3549SK 에너지정유6,694,02910롯데 케미칼석유화학6,559,67511삼표시멘트시멘트5,912,10512성신양회시멘트4,948,81813한화토탈석유.. 2024. 6. 21.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위 그래프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 즉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 원의 구성을 보여준다. 위 그래프를 보고 물음에 답하라. [OX]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OX] 전력생산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너지원 3가지는 석탄(화력발전), 천연가스(화력발전), 우라늄(원자력발전)이다.[OX] 신재생에너지(예, 태양광, 풍력)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력 생산을 위해 어떤 에너지원을 사용하느냐는 발전 비용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때 석탄은 740-1,689(단위 g/kWh), 석유는 510-1,170, 천연가스는 290-930, 태양광은 41, 원자력은 12.. 2024. 6. 21.
[학생활동] National Food "스팸마요는 한국음식인가?" 학생활동 National Foods "스팸마요는 한국음식인가?"음식과 지역이 연결된 사례는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은 핫도그, 영국은 피쉬앤칩스, 이탈리아는 파스타 혹은 피자와 연결된다. "한국의 음식"이라면 뭐가 있을까? 한국을 상징할 수 있는 음식을 나열해 보자. 이들 음식들은 어떻게 한국과 연결되는 것일까? 한국 혹은 한국인과 잘못 연결되는 음식의 사례를 알고 있는가? 한국인과 연결된 전형적인 음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외국의 음식유투버는 한국의 김치말이국수를 소개하며, 국수를 배추김치에 돌돌 말아 먹는 먹방을 선보였다!정체성은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있고, 음식은 이러한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세계화,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지역 간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서 음식과 관련한 다양한 정.. 2024. 6. 19.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연습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해 근거를 찾아보자! 1.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활동에서 작성한 탐구질문 중 조사하고 싶은 탐구질문을 선정한다. 2.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 선정한 탐구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데이터 소스를 찾는다.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는 지리수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공간정보서비스이다. 다문화 가구, 귀농/귀촌, 1인가구, 인구자연증가, 65세 이상 인구, 노령화 지수, 인구밀도 등 인구와 가구 관련 정보, 통근/통학인구 변화 등 주거와 교통 관련 정보, 생활편의시설, 보육시설 현황, 공공도서관 분포 현황 등 복지와 문화 관련 정보, 사업체수 분포 현황, 농림어가수 현황, 서비스업 현황, 치킨 전문점 변.. 2024. 6. 19.
[학생활동]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학생활동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준비물- 지리 동영상(예, 아래 청송군 무료 버스 동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포스트잇(1명당 6장, 만들고자 하는 지리적 질문의 수만큼 색깔이 다른 포스트잇을 준비한다)게임 방법 1. 조별(4-6명)로 앉는다.2. 모든 학생들은 포스트잇을 6장씩 나눠갖는다. 3. 포스트잇 윗부분에 지리적 질문을 하나씩 적는다(0.무엇인가? 1.어디인가? 왜 거기인가? 2.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무엇이 영향을 미쳤는가? 3. 다른 지역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4.어떻게 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그것은 왜 중요한가? 5.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4. 조별로 동영상을 시청한다(아래 동영상). 5. 동영상의 내용을 반영하여 지리적 질문을 만들고.. 2024. 6. 19.
[학생활동] 학생활동 세계유산 추천하기 학생활동 "세계 자연유산을 추천해 보자!" 개요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은 유산을 찾아 세계유산 등재 이유를 작성하는 과제이다. 세계인의 관점에서, 주변의 자연환경이나 경관을 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활동의 목적이다. 지역의 주민이 아닌, 유산을 심사하는 심사자(평가자)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1 단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 국립공원, 지오파크, 생태경관보전지역, 천연기념물, 기타 유형의 '사례' 중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은 유산 1곳 선정한다. 가령, 학생들은 '우포늪'이나 '한탄강 지오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구분설립 목표/ 설명관리주체사례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희망하는 유산들을 사전에 식별하고 목록화문화재청울산 대곡천 암각화군염전(신안.. 2024. 6. 1.
[수업자료 개발]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재판 수업자료 개발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재판 역할극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 배경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해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역할극 수업자료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파리 기후협약에 참여하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약속했지만 온실가스 배출은 감소하지 않고 있으며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환경단체에서 우리나라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맥락으로 시작한다. 제작 과정아래와 같이 ChatGPT에 입력할 수 있다. "고등학교 지리수업을 위한 역할극을 만들고 있어. 역할극의 배경은 재판이며, 파리협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탄소배출을 감축하지 못한 한국정부를 상대로 청소년 환경단체가 소송을 제기했어. 하지만, 정부도 억울한 측면이 있어. 탄소 배.. 2024. 5. 29.
[학생활동] '사랑의 불시착' 학생활동 '사랑의 불시착'을 통해 북한의 '지속가능발전' 상황 이해하기  tvN 인기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우연한 사고로 북한에 불시착 한 남한 여성의 북한 생존기를 다루고 있다. 이 드라마는 북한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표현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드라마의 소재나 배경을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실제 탈북자에게 자문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현재 얼마나 잘 살고 있을까? 북한 사람들의 생활은 나아지고 있을까? 북한에 대해서는 정보나 데이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활동에서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북한의 발전 수준을 확인해 본다.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는 유엔에 속한 국가들이 사회개발, 경제개발, 환경보호, 정의.. 2024.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