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탐 [04-01] 세계자연유산과 보호구역
학습목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반도 자연경관의 가치를 탁월성과 보편성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등재 가능한 자연경관을 추천한다.진로: 문화관광해설사, 지역환경정책연구원, 자연과학교수, 정부행정전문가핵심 아이디어- 세계유산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유일한 가치와 보편적 가치가 동시에 필요하다.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갖고 있다. 아래와 같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1. 세계유산의 의미와 등재기준을 이해한다. 2. 한국의 세계 자연유산 사례(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었던 이유를 파악한다.3. 한국의 자연보호지역(예, 국립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생물권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을 사례로 세계유산을 추천하는 홍..
2022. 12. 13.
한지탐 [03-02]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
학습목표: 식생활 변화 및 세계화에 따른 우리나라 농업의 변화를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을 위한 정책을 제안한다. 진로: 행정부 공무원, 정밀농업기술자, 스마트팜 구축가, 식품공학기술자핵심 아이디어- 농업은 식량 생산을 위해 지표를 변화시키는 활동이다. - 식생활의 변화와 세계화는 농촌과 농업생산의 변화를 가져왔다. - 우리나라 농업은 소규모 경작, 농촌인구의 고령화, 낮은 농업 생산성, 기후변화의 도전에 당면해 있다. - 농촌 지역의 변화(예, 귀농, 스마트농업, K 농산물 등)는 한국의 농업과 농촌에 기회가 될 수 있다.아래와 같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1. 쌀, 밀, 돼지고기 - 우리 식탁의 주식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농업이 직면한 과제 - 낮은 농업 생산성, 영세한 농업구조, ..
2022. 12. 13.
한지탐 [02-01] 음식과 지리
학습목표: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을 조사함으로써 음식을 통한 생산자와 소비자, 상품, 장소의 연결성을 이해하고, 상품사슬을 조직하는 윤리적인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한다.진로: 사회과학교수, 문화상품기획자, 도시재생전문가, 유비쿼터스도시기획자, 도시계획가, 행정부 공무원, 경제분석가 핵심 아이디어 - 지역은 음식을 만들고, 음식은 지역을 만든다. - 음식은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이다. - 음식의 상품사슬을 역추적하는 방식을 통해 소비의 공간적 연결망을 이해하고, 상품의 생산과정의 노동, 환경, 산업 문제를 이해한다. 아래와 같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1. '지역은 음식을 만들고, 음식은 지역을 만든다'- 환경적, 경제적 요인으로 음식(문화)이 생겨난 사례를 이해한다. - 음식 문..
2022. 12. 13.
한지탐 [04-02] 국토의 변화와 지속가능성
학습목표: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진로 지역환경정책연구원, 자연과학교수, 정부행정전문가, 지리정보시스템(GIS)전문가핵심 아이디어 - 공간정보기술(예, 항공사진)과 야외조사를 통해 지표면의 변화와 보전, 복원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표 환경은 개발(도시화, 농업, 산업, 관광지 등)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 환경에 대한 관점은 자연환경의 개발 및 보전의 방향 및 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아래와 같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1. 국토는 얼마나, 왜 변했는가?2. 지표면의 변화를 어떻게 조사할 수 있는가? 3.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2022.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