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7

[학생활동] 동아시아 지정학 -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학생활동 동아시아 지정학 -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이란?일대일로 전략의 주요 경로를 조사해 보자. 중국과 주변국가들은 일대일로 전략을 통해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쿼드(Quad) -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대한 미국의 대응 우리나라의 선택은 무엇인가? 북한을 경유해 일대일로에 참여할 것인가? 아니면, 쿼드에 동참하여 중국을 견제할 것인가? 1.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이란?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는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일대)'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일로)'를 의미한다. 아시아의 동쪽에 위치한 중국이 세계의 많은 지역과 보다 적극적으로 교류하겠다는 의지이며, 예전의 실크로드가 중앙아시아에서 멈췄다면 이제는 러.. 2024. 5. 26.
[학생활동] 대구는 계속 더워질까? 학생활동 대구는 계속 더워질까?// 인공지능 활용 // 기후변화에 따른 대구 지역의 이상고온(일평균 기온 30도 이상) 일수의 변화를 기상청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고, 향후 100년 이후의 변화를 예측해 보는 탐구활동이다.  1단계. 자료 다운받기'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에서 대구의 기온 데이터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한다.기후통계분석 - 통계분석 - 기온분석 - 자료구분(일), 자료형태(기본), 기간(1904-2024), 지역/지점(대구) - 검색CSV 파일로 다운로드 한다.불필요한 데이터(예, 평균기온을 제외한 데이터)를 삭제하면, 속도를 높이고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아래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다운받은 데이터)   2단계. 데이터 분석생성형 AI를 활용해 .. 2024. 5. 22.
[자료] TV에서 본 것이 군사분계선일까? 자료 TV에서 본 것이 군사분계선일까? 아래 박스의 내용을 참조해서 질문에 답해 보자. 북한, 대한민국은 휴전선을 접하고 있다. 휴전선은 국경인가? Yes & No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휴전선'이라고도 한다) 정전협정으로 군사분계선이 생겨났다.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 - 국제조약이나 협약에 의해 무장이 금지된 지역.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쪽으로 2km 지점(남방한계선)과 북쪽으로 2km 지점(북방한계선) 사이의 4km 공간이 비무장지대로 설정되어 있다. 아래 지도에서 군사분계선, 남방한계선(SLL), 북방한계선(NLL), 비무장지대(DMZ)를 찾아보자. 서해상의 북한한계선(NLL)이 북한의 영토와 근접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2024. 5. 22.
[자료] 국경은 왜 문제가 되는가? 자료 국경은 왜 문제가 되는가?  자연적 및 인위적 국경 변화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산지, 하천, 호수 등 지형적 경계를 활용해 국경을 구분한 경우 이들이 변화할 경우 국경의 구분이 모호해진다. 예를 들어, 하천을 따라 국경을 설정할 경우 유로가 바뀔 경우 국경과 새롭게 바뀐 유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아래 지도).  아프리카 차드 호수는 니제르, 차드, 나이지리아, 카메룬 등에 둘러싸여 있는 호수이다. 호수에 물이 가득차 있을 경우를 기준으로 국경을 구분했다면(가령, 호수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후변화에 따라 호수의 물이 말라가면서 호수의 수면이 낮아지고 육지가 생겨났다. 이에 따라 네 국가 간 새롭게 국경을 그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났고, 이는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영향.. 2024. 5. 22.
[학생활동] 한반도 주변 국경의 성격을 조사해 보자! 학생활동 한반도 주변 국경의 성격을 조사해 보자!한반도 주변에는 여러 국가들이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이들 국경은 서로 마주한 국가의 관계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 두 국가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 국경의 성격을 조사해 보자. 표 1, 2를 토대로 아래 질문에 답해 보자. 인구의 이동이 가장 활발한 국경은 어디인가?국가 간 무역이 가장 활발한 국경은 어디인가? 국경의 성격을 개방적/협력적(soft) vs. 폐쇄적/경계적(hard)으로 구분한다면, 가장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경계에 해당하는 국경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가장 폐쇄적이고, 경계하는 국경은 어디인가? 국가간 방문자 수, 국가간 교역량 외에 국경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유는? 표 1... 2024. 5. 15.
[학생활동]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의 불일치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학생활동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의 불일치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1. 질문하기 무엇인가? 전력 자립도란? 어디인가? 우리나라에서 전력 자립도가 높은 혹은 낮은 시도는 어디일까? 왜 거기인가? 왜 그곳이라 생각하는가? 공통점이 있는가? 왜 중요한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떤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는가? 2. 계획 세우기 시도별 전력 자립도 계산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일까? 이 데이터를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전력을 많이 생산하면(예, 화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등) 주변 지역에 어떤 문제가 있을까? 3. 데이터 수집/정리하기통계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 국가에너지통합정보서비스(KESIS) - 발간물 - 지역에너지통계연보 (5. 전력 - 지역별 발전량, 지역별 전력.. 2024. 5. 7.
학생활동 "다른 국가의 에너지 믹스를 통해 탄소중립 대응 전략을 배워보자" 학생활동"다른 국가의 에너지 믹스를 통해 탄소중립 대응 전략을 배워보자"우리나라와 영국, 독일의 에너지 믹스의 구조와 변화를 비교해 보자.  1. 위 세 그래프는 1985년부터 2022년 사이의 한국, 영국, 독일의 전력생산을 위한 에너지 믹스의 변화를 보여준다. 탄소중립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입장에서 영국, 독일의 에너지 믹스를 통해 배워야 할 점이 무엇일까? 에너지 소비량 감소 영국과 독일은 최근 몇 년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국은 2005년경에 에너지 소비량이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독일도 2020년에 소비량의 정점을 찍고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재생 가능 에너지로의 전환 노력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2024. 5. 7.
[학생활동] 우리나라 풍력발전기는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 학생활동 우리나라 풍력발전기는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 공공 데이터, 인공지능,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배경공공데이터와 인공지능(ChatGPT)를 활용해 우리나라 풍력발전단지의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활동이다. 풍력발전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해 작성한 지도의 결과물과 비교한다. 절차  공공데이터 포털에 접속하여, 우리나라 풍력발전기의 위치 데이터를 다운받는다(예, 검색창에서 "풍력발전기 위치") 다운받은 csv 파일을 엑셀 프로그램에서 열고, 지도 제작에 필요한 위치 정보(예, lat, lon)만 남기고 모두 삭제한다. lat = 위도, lon = 경도인공지능(ChatGPT)에 저장한 파일(csv 파일)을 업로드하고, 풍력발전단지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제작을 요청한다("이 데이터는 우리나라 풍.. 2024. 5. 7.
[자료] 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할까? 자료 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어할까?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들이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문화적 자긍심 증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해당 국가나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며, 이는 국민이나 주민의 자긍심과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2. 관광 증진과 지역개발: 세계유산은 많은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가 된다. 이로 인해 관광객이 증가하며, 이는 지역 경제에 큰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관광 수익의 증가는 고용 창출과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3. 보존 노력 강화: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해당 문화재나 자연 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자금과 기술 지원이 제공될 수 있다. 유네스코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 2024. 4. 30.
[자료] 세계 자연유산 - 한국의 갯벌 자료 세계 자연유산 - 한국의 갯벌//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한국의 갯벌은 대한민국의 서남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의 4곳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갯벌은 4가지의 갯벌 모습(하구형, 개방된 만입형, 다도해형, 반폐쇄형) 중 하나를 대표하며, 세계적으로 22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2,150종의 동식물이 보고되어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47종의 고유종과 5종의 멸종위기 해양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 이동로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남쪽 오스트레일리아 인근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철새의 이동 경로이다. 이 경로를 따라 매년 약 5천만 마리의 철새들이 이동하며, 이들에게 한국의 서남해안은 겨울철 도래지이자.. 2024. 4. 30.
[자료] 한국의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자료 한국의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제주도에서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곳은 제주도 전체가 아니라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3곳이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대한민국 제주도 중앙에 위치한 한라산 국립공원 내에 설정된 보호 지역이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한라산과 해발 600m - 1,300m 이상의 높은 지역, 특별한 식물상을 가진 일부 계곡을 포함한다. 한라산은 다양한 기후대를 가지고 있어, 아열대에서부터 한대까지 다양한 식물 군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낮은 산기슭에는 참식나무, 굴거리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난대림이 자리잡고 있으며, 중간 고도에서는 졸참나무, 서어나무, 단풍나무, 산벚나무 등 온대림이 형성되어 있다. 더 높은 곳에서는 구상나무, .. 2024. 4. 30.
[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학생활동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활용하면 개인형 이동수단(PM)과 관련한 교통사고 발생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교통사고분석시스템의 GIS 분석과 통계분석을 활용해 보자. GIS 분석 - 교통사고 GIS 분석 시스템 - 교통사고 분석 - 사고분석 - 지역별(예, 대구광역시 수성구) - 조건설정(사망, 중상, 경상, 부상) - 가해차종 - '개인형이동수단(PM)' 선택 통계분석 - 교통사고 상세통계 - 경찰DB(국가공식통계) - 시도별, 시군구별 교통사고 - 시도별, 시군구별 가해운전자 차종별 교통사고 - 조건설정에서 가해 운전자 차종(PM 선택) 2024.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