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9

[학생활동] ‘샐러드볼 도시’ 음성에서 다문화 사회의 미래를 생각하다! 활동 소개충북 음성군은 인구 감소와 외국인 유입, 산업 구조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며 한국의 새로운 지역 사회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 활동에서는 음성군을 중심으로, 이주민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인구 구조, 공간 변화, 불균형과 과제의 측면에서 탐구합니다. 단순히 이주민의 수가 늘어났다는 사실을 넘어서, 이들이 지역을 유지하고 변화시키는 주체로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해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학생들은 신문 기사를 읽고, 세 가지 탐구 질문에 따라 관련 내용을 찾고, 제시된 지리학적 키워드를 활용하여 자신의 해석을 정리하게 됩니다.활동 목표이주민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지리적 관점에서 이해한다.공간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2025. 4. 6.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얼마나 안전할까? 학습목표식량안보(Food Security) 개념을 이해하고, 한 국가의 식량안보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를 설명할 수 있다.글로벌 식량안보 지수(Global Food Security Index)의 개념과 평가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식량안보를 평가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논리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학습활동 단계흥미 유발 및 선개념 확인개념(Global Food Security Index) 제시데이터 기반 평가활동 및 정책 대안 제시 흥미 유발 및 선개념 확인 우리나라의 식량안보가 위태롭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그런데, '식량안보가 위태롭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한 국가의 식량안보를 평가하기 위해 알아야할 개념이 있다면 무엇일.. 2025. 3. 17.
[학생활동]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지리적 질문과 탐구방법 찾기 학생활동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질문'과 '탐구방법'을 찾아보자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내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한 지리적 질문들은 어떤 것들이 가능하지, 그리고 이들 질문을 조사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 사이트(Geo Inquiry Guide)에 접속하여, 내가 관심 있는 주제의 키워드(예, 차없는 거리, 한강공원 방문객, 서울에서 1인가구 많은 지역, 여수 엑스포와 지역변화, 공공기관 이전과 세종시 인구, 경상북도 해외진출기업 리쇼어링 등)을 넣어 보자. 해당 키워드에 대한 지리적 질문과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알려줄 것이다.  https://chatgpt.com/g/g-67728df3d5d48191a5c2ca534d4d9d55-geo-inqui.. 2025. 3. 16.
[학생활동] 지역이 음식을 만들고, 음식이 지역을 만든다! 학생활동 "지역이 음식을 만들고, 음식이 지역을 만든다!"이 과제는 지역의 지리적 환경이 특정 식재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친 사례와, 그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의 생산과 소비가 지역의 경관, 문화, 경제를 변화시킨 사례를 조사하는 것이다. 단, 두 사례는 동일한 지역에서 이루어진 것이어야 한다. 예) 경남 통영의 굴 생산과 굴 식품, 제주의 감귤 생산과 감귤 산업  과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음식과 지역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좋다. 학생들은 하나의 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의 지리적 환경(기후, 지형, 토양, 수자원 등)이 특정 식재료의 생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또한, 해당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이 어떻게 생산·소비되며, 이 과정이 지역 경관, 경제, 문화에 어떤 변화를.. 2025. 3. 8.
창의적 산출물 제작 학생활동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동영상 제작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쉽게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Sora AI (소라)Sora AI는 일반적인 다양한 영상 제작에 강한 고품질 AI 모델. 텍스트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사실적인 장면부터 애니메이션까지 폭넓은 스타일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Sora AI를 통해 제작한 영상("Two sheep riding the waves and enjoying surfing in the ocean. They are wearing sunglasses and have very joyful expressions" Whisk AI (위스크) 구글에서 만든 '무료' 이미지 생성 AI. 1) 피사체(사람, 동물 등 주인공), 2) 장면(배경), 3).. 2025. 2. 20.
[학생활동] 기차타고 북한여행 5단원의 '기차타고 북한여행' 활동(https://kgeography.tistory.com/130)이 티처몰에서 게임으로 출시되었습니다. 현재 티처몰에서 판매 중입니다.   https://shop.teacherville.co.kr/goods/view?no=1175001 [티처몰ONLY] 기차타고 북한여행단 30분! 게임으로 완성되는 몰입형 수업 만들기shop.teacherville.co.kr 2025. 1. 6.
[학생활동] 지리적 질문을 위한 맞춤형 GPTs 학생활동 지리적 질문을 위한 맞춤형 GPTs// 인공지능(GPTs) //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를 활용해 자신만의 생성형 인공지능(GPTs)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GPTs(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s)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글을 읽고 쓰는 언어 모델이다. GPT는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언어 패턴과 문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를 생성하거나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지리적 질문과 지리탐구를 위한 맞춤형 GPTs 소개 Geo Inquiry Guide는 지리교사와 학생들이 지리적 질문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 도구이다. 이 GPTs는 지리적 사고력과 지리탐구 능력의 향상을 위해 두 가지 주요 기능을.. 2024. 12. 30.
동해안과 서해안의 조석차 밀물과 썰물은 '조석'이라 하며, 썰물은 만조시에서 간조시까지, 반대로 밀물은 간조시에서 만조시까지의 물 드나듬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조석의 차이가 크지만 동해안은 그 차이가 적다. 조석은 우리 눈에는 바닷물의 드나듬으로 확인되지만 실제로는 바닷물의 수위(높낮이) 변화라 할 수 있다. 즉, 밀물때는 바닷물의 높이가 높아지고, 썰물때는 바닷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해안의 조석차는 얼마나 될까? 과연 동해안에 비해 얼마나 뚜렷하며, 또 남해안의 조석차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해안에 관측 포인트를 통해 바닷물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다. 또한, 과거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예측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가 갯벌에 놀러갈 때 참조하는 '물때표'라.. 2024. 12. 26.
지리적 질문이란? 한지탐의 1단원은 지리적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를 '지리적으로 질문하기'라 표현합니다. 지리적으로 질문한다는 것이 다소 추상적인 의미가 있는 것 같아 논문을 통해 그 의미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을 읽어 싶다면, 아래 첨부된 논문을 읽으시면 됩니다. 2024. 12. 26.
인천 학익고등학교 동아리 수업 지난 금요일 (10월 25일) 인천에 위치한 학익고(공립 남고) 동아리 학생들을 위해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주제는 “생성형 AI로 지리 배우기“ 입니다. 2시간 특강이었는데, 아래 4가지 프로그램만으로 충분했습니다:1) 풍력발전기는 어디에?2) 대구는 계속 더워질까?3) 지역정체성을 반영한 카페 음료 디자인4) 장소 관련 노래 만들기교사연수, 학부생 수업에도 여러 차례 활용한 레퍼토리인데, 막상 고등학생 대상은 처음입니다. 고1-고3으로 구성된 12명의 동아리 학생들이 무엇보다 호응이 좋아 수업하기 매우 수월했습니다.고등학생들의 반응이 좋았던 프로그램은 노래 만들기 입니다. 원래는 세계유산으로 노래 만들어보는 것인데, 오늘은 ‘인천’에 대한 것으로 바꿔서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뭔가 스스로 만드는 것, .. 2024. 10. 28.
환경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 - 신두리 해안사구 조사 학생활동 신두리 해안사구 조사 개요 이 야외조사 프로그램은 한국지리탐구의 4.2. ‘국토의 변화와 지속가능성’에서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성취기준을 위해 개발되었다.  탐구질문 어디인가? 신두리 해안사구란?신두리 해안사구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신두리 해안사구는 변화해 왔는가? 환경에 대한 관점은 왜 중요한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신두리 야외조사 신두리 해안사구란? 우리나라 서해안에 많은 해안사구가 발달해 있다. 서해안에 해안사구가 발달하기 유리한 조건은 무엇일까? '해안사구'하면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가? 아래 영상을 보고, 내가 생각했던 것과 비교해.. 2024. 10. 21.
지표는 왜 변화하는가? 학생활동 지표는 왜 변화하는가? 아래는 강원도 삼척시 주변의 위성사진이다. 네이버(map.naver.com) 혹은 다음 지도(maps.daum.net)의 위성사진 기능을 활용해 아래 지도에 표시된 위치를 찾아보자. 2024. 10. 20.
해안지역의 변화와 보전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학생활동 해안사구의 침식과 복구 - 강릉 하시동 사구 사례 개요 성취기준 “도시화, 농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산지, 하천, 해안지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과 개발에 대한 관점이 자연환경의 복원 및 지속가능한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를 위해 개발되었다. 해안침식이 활발한 지역을 대상으로 해안침식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안침식에 대처하는 방법의 유형과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초점이다.  탐구질문 해안사구란?해안침식이란?해안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해안사구란? 해안사구의 형성사구는 바람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식물, 암석, 또는 다른 장애물에 부딪혀 쌓이면서 만들어진 모래 언덕을 말한다. 특히 해안가에 위치한 모래 언.. 2024. 10. 20.
우리지역 자연재해 위험 평가 학생활동 "우리지역에는 어떤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할까? 자연재해 위험 평가 보고서"목표 - 내가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해일, 산사태, 폭염, 지진 등 자연재해 위험을 조사해 자연재해의 위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특징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제시된 자연재해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예,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 재난 데이터 등)를 활용한다.  공간정보웹서비스 기반 자연재해 탐구학습 모델단계지리적 질문수업활동1단계탐구질문 정의 및 중요성 인식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 탐구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학생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사례를 떠올리며, 경험과 지역 사회의 지식을 바탕으로 탐구의 기초를 마련한다.2단계공간정보웹서비스 확인 및 평가탐구 질문을 해결하기.. 2024. 10. 17.
공공 & 빅데이터 포털 리스트 [작업 중] 공공 데이터와 빅 데이터를 찾을 수 있게 모아둔 포털들이 많아졌다. 지리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런 포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stcis.go.kr) 네이버 데이터랩(datalab.naver.com/)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bigdata-culture.kr/bigdata/user/main.do) 날씨마루(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플랫폼)(bd.kma.go.kr/kma2020/)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bigdata-realestate.kr/) 한국관광데이터랩(https://datalab.visitkorea.or.kr/datalab/portal/main/getMainForm.do) 국가교통 데이터 오픈마켓(www.bigdata-tran.. 2024. 10. 10.
시도별 인구 변화 (1925-2010) 학생활동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한 지역은?// 인공지능 활용 // 1925년부터 2010년 사이 시도별 인구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가장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찾고 그 이유와 영향을 추론하는 활동이다. 데이터는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다운받게 되며, 데이터의 시각화와 추론은 생성형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다.  1.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데이터 다운국가통계포털(KOSIS) - 국내통계 - 주제별 통계 - 인구 - 인구주택총조사 - 인구부문 - 총조사인구총괄(1925년-2010년) - 총조사인구총괄(시도/성/연령별): '조회' 버튼을 통해 2025년부터 2010년 사이 시도별 인구 데이터(엑셀)을 다운 받는다(성별, 연령별 데이터는 제외).  2.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 2024. 10. 10.
서울시 교육청 지리과 1정 연수 서울시 교육청 주관 지리과 1정 연수를 위해 서울시 교육연수원에 다녀왔습니다. 오늘 연수의 주제는 "생성형 인공지능과 지리교수법" 입니다. 오늘 연수시간의 대부분(98%)은 실습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오늘은 연수원에서 수강생들에게 ChatGPT 유료버전을 모두 구매해 주어 계획했던 실습을 무사히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2024. 8. 2.
[학생활동] 영화 만들기 학생활동 영화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주제에 맞는 영상(영화)을 제작하는 활동이다. 활동 순서이번에는 크게 3가지의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다. 1. 생성형 인공지능(예, ChatGPT, Claude 등)를 활용해 원하는 주제에 대한 스토리를 작성한다. 직접 스토리를 작성해도 되고,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스토리를 작성할 수도 있다. 작성된 스토리를 바탕으로 스토리의 장면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다. 2. 생성형 인공지능(예, Midjourney, DALL-E 등)를 활용해 각 장면에 대한 이미지를 작성한다. 3. 생성형 인공지능(예, KREA)를 활용해 이미지를 연결하는 동영상을 제작한다. 예시 1.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스토리와 이미지를 완성한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2024. 7. 28.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학생활동 세계유산 노래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주제에 맞는 노래는 제작하는 활동이다. 노래 듣기 - 제목: 썰물의 속삭임활동 순서1. 생성형 인공지능(ChatGPT)를 활용해 노래 가사를 작성한다(예, "갯벌의 아름다움과 특성을 표현하는 노래가사를 작성해줘").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노래가사를 직접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래 가사 작성 과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은 창의력과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노래 가사의 구조를 이해하고, 각 부분의 목적을 알면 학생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노래에서 Verse(버스), Chorus(후렴), Bridge(브릿지), Outro(아웃트로)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들에.. 2024. 7. 27.
[학생활동] 나는 어디일까? 학생활동 나는 어디일까?// 인공지능 // 배경 한 지역(국가)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을 준비하고, 어디인지 추측해 보는 활동이다. 지역에 대한 학습에 앞서, 지역에 대한 학생들의 선지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오개념을 개선할 수 있다.  활동방법사진 모둠을 제시하고, 어디인지 묻는다. "나는 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입니다. 이 사진들은 그 국가에서 찍은 사진들입니다. 나는 어디일까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모둠별로 돌아가며 정답과 이유를 발표한다. 정답을 확인한다. 인공지능을 사진을 얼마나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까? 생성형 인공지능(예, ChatGPT)을 활용한다면 사진을 업로드 하고, 어느 국가인지 물어보자. 2024. 7. 26.
[학생활동] 스무고개 놀이 학생활동 내가 생각하는 하천을 맞춰봐!// 인공지능 // 배경 '스무고개' 놀이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지리적 지명을 서로 맞추는 놀이이다. 하천, 산맥, 강, 도시 등 주제를 먼저 정해놓고, 스무고개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예시나: 스무고개 할 줄 알아?ChatGPT: 네, 스무고개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생각하고 있을 테니, 질문을 하면서 그게 무엇인지 맞추시면 됩니다. 질문은 예/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형태로 해 주세요.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한 가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질문을 시작해 주세요!나: 그냥 스무고개가 아니라 지명 관련 스무고개를 하고 싶어. 이번에는 세계의 하천과 관련된 스무고개를 해 보자.ChatGPT: 좋습니다. 세계의 하천과 관련된 지명을 생각해 보았.. 2024. 7. 26.
서울 지리교과 연구회 직무연수 6월 29일 서울 지리교과 연구회 직무연수가 있었습니다. 연수의 제목은 ”한국지리 탐구의 재발견: 탐구와 기술을 통한 현대적 접근“ 입니다.무엇보다 오후 5시에 연수가 끝났음에도 모두 자리를 지키고, 새로운 스토리를 기다리는 듯한 그 분위기는 오늘 연수의 최고 장면이 아닌가 합니다.대부분 선생님들은 서울, 경기 지역에서 오셨지만, 일부 선생님은 멀리 김해, 부산, 진안에서 참석하셨습니다. 오늘 연수는 크게 4가지 주제로 구성되었으며, 점심식사 전에 2가지 주제, 점심식사 후에 2가지 주제를 각각 다루었습니다. 2024. 7. 8.
이화 지리교사 캠프 “제1회 이화 지리교사 캠프”가 2월 19일 이대 교육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멀리는 03학번부터 가까이는 18학번까지 참여했습니다!!1부(오전)는 “한지탐과 지리적 질문”,2부(오후)는 “인공지능으로 가르치는 지리” 시간입니다.그리고 틈틈히 선후배간 교류의 시간도 자연스럽게 진행되었습니다^^이번 연수의 특징은 ChatGPT plus 버전에 맞춰 연수 콘텐츠를 준비하고, 참가자 모두 plus 버전을 가입해서 실습한 부분입니다. 예전에 비해 훨씬 다양하고 강력한 기능의 학습이 가능합니다. 2024. 7. 8.
데이터 및 테크놀로지 활용 학생활동 목록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학생활동] "핫 플레이스는 얼마나 변화했는가?", 다음지도 로드뷰 활용 바로가기[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활용 바로가기 [학생활동] "외국인은 어디에 있을까?" 외국인 인구비율이 높은 곳은 어디일까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활용 바로가기 [학생활동]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지역 변화(반도체 vs. 조선),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활용 바로가기[학생활동] "지역경제가 활기찬 곳은 어디인가?" 지역경제활력도 분석하기, 국토연구원 지역활력지수 활용 바로가기[학생활동] 고향사랑 기부제 기부금 활동 방안 제안, 국토연구원 생활인프라 결핍지수 활용 바로가기[자료] 세계 자연유..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