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7

[자료] 왜 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보다 넓은 것일까? 자료 왜 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보다 넓은 것일까? //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지도에서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해양수산부 해양공간지도 - 해양공간종합지도 - 카테고리에서 '해양생태계 관리' - '영해기점 무인도서', '영해' 등 필요한 정보를 선택한다.  왜 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보다 넓은 것일까?서해안의 영해가 동해안의 영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것은 서해안의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영해는 해안선에서 12해리까지의 범위이다. 해안선이 단조롭고 섬이 없는 동해안의 경우 해안선을 따라 12해리까지 영해가 나타난다. 이를 '통상기선'이라 한다. 하지만,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발달한 지역의 경우 해안선보다는 제일 외곽의 섬의 연결한 다음 그 지점으로부터 12해리를 .. 2024. 6. 22.
[학생활동] 북한 관광지 - 어디를 먼저 개발해야 할까? 학생활동 북한 관광지 - 어디를 먼저 개발할 것인가? 북한에는 여러가지 사업 기회가 존재한다. 정치적 리스크가 존재하는 초기 단계에는 과도한 설비 및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지 않는 관광산업으로 진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과거 개성이나 금강산 관광의 경험이 있어 남북관계가 안전화된다면 관광산업을 다시 시작하기는 매우 유리한 상황이다. 관광산업은 북한정부와의 협약을 통해 관광산업 권리를 획득하고, 남한 여행사가 고객을 모집하고 북으로 보내면, 북한의 현지 여행사가 여행상품 운영과 여행객 지원을 책임지는 방식이 된다. 대북사업으로서 관광사업의 기회와 위협은 아래와 같다. 기회- 산, 해변 등 북한은 우수한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지구상에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공산주의 국가라는 호기심을 자극하여, .. 2024. 6. 22.
[학생활동] 대북투자 시나리오 학생활동 대북투자 시나리오 대북투자 시나리오 3가지를 읽고, 투자하고 싶은 대북 투자 혹은 투자가 필요한 대북 투자를 선정해 보자. 이유는 무엇인가? 대북 투자 시나리오 1.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하던 철광석을 무산광산에서 수입할 수 있을까? 북한의 무산에 아시아 최대의 철광석 매장지가 있다. 무산광산의 추정 매장량 30억톤, 가채 매장량 13억톤에 달한다. 무산광산은 외부로 드러난 것을 채굴하는 노천광산 방식이라 산을 깎아내며 점점 평탄화되는 모습이다. 무산광산에서 캐어낸 철광석은 무산선과 함북선 철도를 통해 함경북도 청진시에 있는 김책제철소로 보내진다.  여러분이 포스코 원료 수입 담당자라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하던 철광석을 무산광산에서 수입할 것인가?기회- 남한은 광물자원을 많이 소비하는 산업구.. 2024. 6. 22.
[학생활동] 기차타고 북한 여행 학생활동 기차타고 북한 여행 개요북한의 주요 교통수단은 여전히 기차이다. 주사위 게임을 통해 북한의 철로를 따라 북한 전역을 여행하며, 북한의 주요 도시의 위치와 특징을 이해하는 게임 활동이다.  준비물게임 시작 전 보드판(아래 사진)을 준비한다. 도시카드를 잘라 3장씩 겹쳐 놓는다. 즉, 하나의 도시별로 도시카드가 준비되어 있다.  OX 질문카드는 잘라서 엎어 놓는다. 주사위 1개진행방법2-5명이 게임에 참여한다. 각자 1개의 말을 갖고,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대로 전진한다. 단, 주사위의 1과 2는 1칸, 3와 4는 2칸, 5과 6은 3칸을 움직인다. 말은 철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동일한 지점에 2명 이상이 함께 머물 수 있다. 출발지점은 문산이며 도착지점은 속초이다. 단, 신의주, 혜산, .. 2024. 6. 21.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 자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다음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20개 기업(2021년 기준)의 목록이다. 이 표를 토대로 아래의 질문에 답해 보자.  1.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을 찾아보자 (4-5가지)2. 이들은 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것일까? 순위업체명업종배출량 (단위: 톤)1포스코철강78,490,2072현대제철철강28,489,3053삼성전자반도체14,494,4474쌍용 C&E시멘트10,609,9445S-Oil정유9,774,5286엘지화학석유화학8,839,5647GS 칼텍스정유8,229,6878현대 오일뱅크정유7,323,3549SK 에너지정유6,694,02910롯데 케미칼석유화학6,559,67511삼표시멘트시멘트5,912,10512성신양회시멘트4,948,81813한화토탈석유.. 2024. 6. 21.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학생활동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위 그래프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 즉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 원의 구성을 보여준다. 위 그래프를 보고 물음에 답하라. [OX] 우리나라의 전력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OX] 전력생산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너지원 3가지는 석탄(화력발전), 천연가스(화력발전), 우라늄(원자력발전)이다.[OX] 신재생에너지(예, 태양광, 풍력)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력 생산을 위해 어떤 에너지원을 사용하느냐는 발전 비용 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때 석탄은 740-1,689(단위 g/kWh), 석유는 510-1,170, 천연가스는 290-930, 태양광은 41, 원자력은 12.. 2024. 6. 21.
[학생활동] National Food "스팸마요는 한국음식인가?" 학생활동 National Foods "스팸마요는 한국음식인가?"음식과 지역이 연결된 사례는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은 핫도그, 영국은 피쉬앤칩스, 이탈리아는 파스타 혹은 피자와 연결된다. "한국의 음식"이라면 뭐가 있을까? 한국을 상징할 수 있는 음식을 나열해 보자. 이들 음식들은 어떻게 한국과 연결되는 것일까? 한국 혹은 한국인과 잘못 연결되는 음식의 사례를 알고 있는가? 한국인과 연결된 전형적인 음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외국의 음식유투버는 한국의 김치말이국수를 소개하며, 국수를 배추김치에 돌돌 말아 먹는 먹방을 선보였다!정체성은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있고, 음식은 이러한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세계화,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지역 간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서 음식과 관련한 다양한 정.. 2024. 6. 19.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연습 학생활동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해 근거를 찾아보자! 1.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활동에서 작성한 탐구질문 중 조사하고 싶은 탐구질문을 선정한다. 2.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 선정한 탐구질문에 답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데이터 소스를 찾는다.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는 지리수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공간정보서비스이다. 다문화 가구, 귀농/귀촌, 1인가구, 인구자연증가, 65세 이상 인구, 노령화 지수, 인구밀도 등 인구와 가구 관련 정보, 통근/통학인구 변화 등 주거와 교통 관련 정보, 생활편의시설, 보육시설 현황, 공공도서관 분포 현황 등 복지와 문화 관련 정보, 사업체수 분포 현황, 농림어가수 현황, 서비스업 현황, 치킨 전문점 변.. 2024. 6. 19.
[학생활동]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학생활동 게임을 통해 지리적 질문을 만들어 보자! 준비물- 지리 동영상(예, 아래 청송군 무료 버스 동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포스트잇(1명당 6장, 만들고자 하는 지리적 질문의 수만큼 색깔이 다른 포스트잇을 준비한다)게임 방법 1. 조별(4-6명)로 앉는다.2. 모든 학생들은 포스트잇을 6장씩 나눠갖는다. 3. 포스트잇 윗부분에 지리적 질문을 하나씩 적는다(0.무엇인가? 1.어디인가? 왜 거기인가? 2.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무엇이 영향을 미쳤는가? 3. 다른 지역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4.어떻게 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그것은 왜 중요한가? 5.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4. 조별로 동영상을 시청한다(아래 동영상). 5. 동영상의 내용을 반영하여 지리적 질문을 만들고.. 2024. 6. 19.
[학생활동] 학생활동 세계유산 추천하기 학생활동 "세계 자연유산을 추천해 보자!" 개요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은 유산을 찾아 세계유산 등재 이유를 작성하는 과제이다. 세계인의 관점에서, 주변의 자연환경이나 경관을 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활동의 목적이다. 지역의 주민이 아닌, 유산을 심사하는 심사자(평가자)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1 단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 국립공원, 지오파크, 생태경관보전지역, 천연기념물, 기타 유형의 '사례' 중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은 유산 1곳 선정한다. 가령, 학생들은 '우포늪'이나 '한탄강 지오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구분설립 목표/ 설명관리주체사례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희망하는 유산들을 사전에 식별하고 목록화문화재청울산 대곡천 암각화군염전(신안.. 2024. 6. 1.
[수업자료 개발]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재판 수업자료 개발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재판 역할극 만들기 // 인공지능 활용 // 배경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해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및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역할극 수업자료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파리 기후협약에 참여하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약속했지만 온실가스 배출은 감소하지 않고 있으며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환경단체에서 우리나라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맥락으로 시작한다. 제작 과정아래와 같이 ChatGPT에 입력할 수 있다. "고등학교 지리수업을 위한 역할극을 만들고 있어. 역할극의 배경은 재판이며, 파리협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탄소배출을 감축하지 못한 한국정부를 상대로 청소년 환경단체가 소송을 제기했어. 하지만, 정부도 억울한 측면이 있어. 탄소 배.. 2024. 5. 29.
[학생활동] '사랑의 불시착' 학생활동 '사랑의 불시착'을 통해 북한의 '지속가능발전' 상황 이해하기  tvN 인기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우연한 사고로 북한에 불시착 한 남한 여성의 북한 생존기를 다루고 있다. 이 드라마는 북한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표현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드라마의 소재나 배경을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실제 탈북자에게 자문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현재 얼마나 잘 살고 있을까? 북한 사람들의 생활은 나아지고 있을까? 북한에 대해서는 정보나 데이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활동에서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북한의 발전 수준을 확인해 본다.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는 유엔에 속한 국가들이 사회개발, 경제개발, 환경보호, 정의.. 2024. 5. 28.
[학생활동] 동아시아 지정학 -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학생활동 동아시아 지정학 -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이란?일대일로 전략의 주요 경로를 조사해 보자. 중국과 주변국가들은 일대일로 전략을 통해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쿼드(Quad) -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대한 미국의 대응 우리나라의 선택은 무엇인가? 북한을 경유해 일대일로에 참여할 것인가? 아니면, 쿼드에 동참하여 중국을 견제할 것인가? 1.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이란?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는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일대)'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일로)'를 의미한다. 아시아의 동쪽에 위치한 중국이 세계의 많은 지역과 보다 적극적으로 교류하겠다는 의지이며, 예전의 실크로드가 중앙아시아에서 멈췄다면 이제는 러.. 2024. 5. 26.
[학생활동] 대구는 계속 더워질까? 학생활동 대구는 계속 더워질까?// 인공지능 활용 // 기후변화에 따른 대구 지역의 이상고온(일평균 기온 30도 이상) 일수의 변화를 기상청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고, 향후 100년 이후의 변화를 예측해 보는 탐구활동이다.  1단계. 자료 다운받기'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에서 대구의 기온 데이터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한다.기후통계분석 - 통계분석 - 기온분석 - 자료구분(일), 자료형태(기본), 기간(1904-2024), 지역/지점(대구) - 검색CSV 파일로 다운로드 한다.불필요한 데이터(예, 평균기온을 제외한 데이터)를 삭제하면, 속도를 높이고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아래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다운받은 데이터)   2단계. 데이터 분석생성형 AI를 활용해 .. 2024. 5. 22.
[자료] TV에서 본 것이 군사분계선일까? 자료 TV에서 본 것이 군사분계선일까? 아래 박스의 내용을 참조해서 질문에 답해 보자. 북한, 대한민국은 휴전선을 접하고 있다. 휴전선은 국경인가? Yes & No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휴전선'이라고도 한다) 정전협정으로 군사분계선이 생겨났다.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 - 국제조약이나 협약에 의해 무장이 금지된 지역.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쪽으로 2km 지점(남방한계선)과 북쪽으로 2km 지점(북방한계선) 사이의 4km 공간이 비무장지대로 설정되어 있다. 아래 지도에서 군사분계선, 남방한계선(SLL), 북방한계선(NLL), 비무장지대(DMZ)를 찾아보자. 서해상의 북한한계선(NLL)이 북한의 영토와 근접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2024. 5. 22.
[자료] 국경은 왜 문제가 되는가? 자료 국경은 왜 문제가 되는가?  자연적 및 인위적 국경 변화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산지, 하천, 호수 등 지형적 경계를 활용해 국경을 구분한 경우 이들이 변화할 경우 국경의 구분이 모호해진다. 예를 들어, 하천을 따라 국경을 설정할 경우 유로가 바뀔 경우 국경과 새롭게 바뀐 유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아래 지도).  아프리카 차드 호수는 니제르, 차드, 나이지리아, 카메룬 등에 둘러싸여 있는 호수이다. 호수에 물이 가득차 있을 경우를 기준으로 국경을 구분했다면(가령, 호수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후변화에 따라 호수의 물이 말라가면서 호수의 수면이 낮아지고 육지가 생겨났다. 이에 따라 네 국가 간 새롭게 국경을 그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났고, 이는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영향.. 2024. 5. 22.
[학생활동] 한반도 주변 국경의 성격을 조사해 보자! 학생활동 한반도 주변 국경의 성격을 조사해 보자!한반도 주변에는 여러 국가들이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이들 국경은 서로 마주한 국가의 관계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 두 국가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 국경의 성격을 조사해 보자. 표 1, 2를 토대로 아래 질문에 답해 보자. 인구의 이동이 가장 활발한 국경은 어디인가?국가 간 무역이 가장 활발한 국경은 어디인가? 국경의 성격을 개방적/협력적(soft) vs. 폐쇄적/경계적(hard)으로 구분한다면, 가장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경계에 해당하는 국경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가장 폐쇄적이고, 경계하는 국경은 어디인가? 국가간 방문자 수, 국가간 교역량 외에 국경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유는? 표 1... 2024. 5. 15.
[학생활동]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의 불일치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학생활동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의 불일치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1. 질문하기 무엇인가? 전력 자립도란? 어디인가? 우리나라에서 전력 자립도가 높은 혹은 낮은 시도는 어디일까? 왜 거기인가? 왜 그곳이라 생각하는가? 공통점이 있는가? 왜 중요한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떤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는가? 2. 계획 세우기 시도별 전력 자립도 계산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일까? 이 데이터를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전력을 많이 생산하면(예, 화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등) 주변 지역에 어떤 문제가 있을까? 3. 데이터 수집/정리하기통계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 국가에너지통합정보서비스(KESIS) - 발간물 - 지역에너지통계연보 (5. 전력 - 지역별 발전량, 지역별 전력.. 2024. 5. 7.
학생활동 "다른 국가의 에너지 믹스를 통해 탄소중립 대응 전략을 배워보자" 학생활동"다른 국가의 에너지 믹스를 통해 탄소중립 대응 전략을 배워보자"우리나라와 영국, 독일의 에너지 믹스의 구조와 변화를 비교해 보자.  1. 위 세 그래프는 1985년부터 2022년 사이의 한국, 영국, 독일의 전력생산을 위한 에너지 믹스의 변화를 보여준다. 탄소중립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입장에서 영국, 독일의 에너지 믹스를 통해 배워야 할 점이 무엇일까? 에너지 소비량 감소 영국과 독일은 최근 몇 년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국은 2005년경에 에너지 소비량이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독일도 2020년에 소비량의 정점을 찍고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재생 가능 에너지로의 전환 노력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2024. 5. 7.
[학생활동] 우리나라 풍력발전기는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 학생활동 우리나라 풍력발전기는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 공공 데이터, 인공지능,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배경공공데이터와 인공지능(ChatGPT)를 활용해 우리나라 풍력발전단지의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활동이다. 풍력발전 관련 공간정보웹서비스를 활용해 작성한 지도의 결과물과 비교한다. 절차  공공데이터 포털에 접속하여, 우리나라 풍력발전기의 위치 데이터를 다운받는다(예, 검색창에서 "풍력발전기 위치") 다운받은 csv 파일을 엑셀 프로그램에서 열고, 지도 제작에 필요한 위치 정보(예, lat, lon)만 남기고 모두 삭제한다. lat = 위도, lon = 경도인공지능(ChatGPT)에 저장한 파일(csv 파일)을 업로드하고, 풍력발전단지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제작을 요청한다("이 데이터는 우리나라 풍.. 2024. 5. 7.
[자료] 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할까? 자료 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싶어할까?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들이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문화적 자긍심 증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해당 국가나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며, 이는 국민이나 주민의 자긍심과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2. 관광 증진과 지역개발: 세계유산은 많은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가 된다. 이로 인해 관광객이 증가하며, 이는 지역 경제에 큰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관광 수익의 증가는 고용 창출과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3. 보존 노력 강화: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해당 문화재나 자연 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자금과 기술 지원이 제공될 수 있다. 유네스코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 2024. 4. 30.
[자료] 세계 자연유산 - 한국의 갯벌 자료 세계 자연유산 - 한국의 갯벌//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한국의 갯벌은 대한민국의 서남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의 4곳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갯벌은 4가지의 갯벌 모습(하구형, 개방된 만입형, 다도해형, 반폐쇄형) 중 하나를 대표하며, 세계적으로 22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2,150종의 동식물이 보고되어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47종의 고유종과 5종의 멸종위기 해양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 이동로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남쪽 오스트레일리아 인근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철새의 이동 경로이다. 이 경로를 따라 매년 약 5천만 마리의 철새들이 이동하며, 이들에게 한국의 서남해안은 겨울철 도래지이자.. 2024. 4. 30.
[자료] 한국의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자료 한국의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제주도에서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곳은 제주도 전체가 아니라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3곳이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대한민국 제주도 중앙에 위치한 한라산 국립공원 내에 설정된 보호 지역이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한라산과 해발 600m - 1,300m 이상의 높은 지역, 특별한 식물상을 가진 일부 계곡을 포함한다. 한라산은 다양한 기후대를 가지고 있어, 아열대에서부터 한대까지 다양한 식물 군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낮은 산기슭에는 참식나무, 굴거리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난대림이 자리잡고 있으며, 중간 고도에서는 졸참나무, 서어나무, 단풍나무, 산벚나무 등 온대림이 형성되어 있다. 더 높은 곳에서는 구상나무, .. 2024. 4. 30.
[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학생활동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은 지점은 어디인가? 이들 장소의 특징은?// 공간정보웹서비스 활용 // 한국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활용하면 '개인형 이동수단(PM)'과 관련한 교통사고 발생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활동에서는 아래의 질문에 대한 근거와 답을 찾아보도록 한다.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사고유형)서울시 강남구에서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곳은 어디인가? (사고위치 특성)개인형 이동수단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은 방치된 이동수단의 견인지점과 관련 있을까? (사고위치 특성)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아래의 사이트를 활용할 것이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공공데이터 포털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개.. 2024. 4. 5.